최근 미국 대선판의 시선이 온통 도널드 트럼프 논란에 쏠린 가운데 힐러리 클린턴, 젭 부시 등 다른 유력 후보들이 적극적인 정책 안을 내놓으며 언론의 주목을 되찾아오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민주당 유력 후보인 클린턴 전 국무장관은 이날 페이스북 사용자들과 가진 온라인 질문·답변(Q&A) 행사에서 “기업이 잘못을 하면 책임 있는 임원들의 보너스를 삭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행사는 페이스북 사용자들로부터 질문을 받고 답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클린턴 전 장관은 주로 월가 개혁 등 자신의 금융 정책 방향을 밝혔다고 WSJ는 전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기업이 잘못을 저질러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까지 냈는데도 종종 개인은 책임을 면하는 경우가 많다”며 개인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금융권 내부고발자들에 대한 보상을 늘리고 ‘도드-프랭크법’을 강화하겠다고도 약속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금융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제정된 도드-프랭크법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핵심 금융 개혁 법안이다.
기업과 개인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금융 시스템을 개혁하기 위해 독립적인 감사관을 임명해 자율권한을 줄 계획이라고도 클린턴 전 장관은 소개했다. 자본이득세 개편, 학자금 대출 부담 경감 등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젭 부시 전 플로리다 주지사도 이날 자신이 주지사로 있었던 플로리다를 방문, 탤러해시 대학 연설에서 행정부 비용 감축을 위해 정부 인력 감축, 의원 월급 공제 등 파격적 제안을 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연방 정부 인력을 10% 줄이고 추가 고용을 즉시 중단하며, 의회에 출석하지 않는 상·하원 의원의 경우 월급을 그만큼 공제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아버지 부시, 형 부시 전 대통령과 달리 주지사직 외에 다른 정계 이력이 없는 그는 스스로를 ‘정치 아웃사이더’라고 부르면서 의회에 대한 로비스트의 영향력을 줄이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NYT는 그의 이런 제안에 벌써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등 반대 움직임이 일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민주당 유력 후보인 클린턴 전 국무장관은 이날 페이스북 사용자들과 가진 온라인 질문·답변(Q&A) 행사에서 “기업이 잘못을 하면 책임 있는 임원들의 보너스를 삭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행사는 페이스북 사용자들로부터 질문을 받고 답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클린턴 전 장관은 주로 월가 개혁 등 자신의 금융 정책 방향을 밝혔다고 WSJ는 전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기업이 잘못을 저질러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까지 냈는데도 종종 개인은 책임을 면하는 경우가 많다”며 개인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금융권 내부고발자들에 대한 보상을 늘리고 ‘도드-프랭크법’을 강화하겠다고도 약속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금융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제정된 도드-프랭크법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핵심 금융 개혁 법안이다.
기업과 개인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금융 시스템을 개혁하기 위해 독립적인 감사관을 임명해 자율권한을 줄 계획이라고도 클린턴 전 장관은 소개했다. 자본이득세 개편, 학자금 대출 부담 경감 등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젭 부시 전 플로리다 주지사도 이날 자신이 주지사로 있었던 플로리다를 방문, 탤러해시 대학 연설에서 행정부 비용 감축을 위해 정부 인력 감축, 의원 월급 공제 등 파격적 제안을 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연방 정부 인력을 10% 줄이고 추가 고용을 즉시 중단하며, 의회에 출석하지 않는 상·하원 의원의 경우 월급을 그만큼 공제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아버지 부시, 형 부시 전 대통령과 달리 주지사직 외에 다른 정계 이력이 없는 그는 스스로를 ‘정치 아웃사이더’라고 부르면서 의회에 대한 로비스트의 영향력을 줄이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NYT는 그의 이런 제안에 벌써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등 반대 움직임이 일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