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폴란드계 미국인 귀족 카시미르 풀라스키(폴란드 표기로는 카지미에슈 푸와스키)는 1777년 영국 군대와 맞붙은 워싱턴 장군 부대에 합류해 브랜디와인 전투 때 그의 목숨을 구한 것은 물론, 혁혁한 공을 세워 폴란드와 미국 모두에서 전쟁 영웅으로 존경받고 있다. 사실 그의 유해가 보관된 철제 관이 발견되고 그 안의 유해 두개골이 여자의 것이었음이 밝혀진 것이 20년 전의 일이었지만 그 유해가 정말로 풀라스키인지 입증하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 DNA 분석 결과 그 여성 두개골이 실제로 풀라스키임이 입증된 과정이 8일(이하 현지시간) 스미소니언 채널을 통해 방영되는 다큐멘터리 ‘미국의 숨겨진 얘기-그 장군이 여자였다고?’편을 통해 소개된다고 영국 BBC가 6일 전했다.
1745년 바르샤바에서 태어난 풀라스키는 어릴 적부터 정치에 관심이 많았는데 10대 시절 이미 폴란드 독립을 위해 싸우다 러시아 제국의 검속을 피해 프랑스 파리로 달아났다. 그곳에서 미국 독립선언서를 기초한 벤저민 프랭클린을 만나 미국 독립전쟁 참전을 권유받았다. 1777년 브랜디와인 전투 때 워싱턴 장군의 목숨을 구한 그는 장군과 병사들이 퇴각할 수 있는 루트를 찾아내는 공로도 세웠다. 하지만 조지아주 서배나 포위 때 부상당해 1779년에 34세로 짧은 삶을 마감했다.
그의 유해는 서배나에 있던 기념비 아래 철제 컨테이너에 담겨 있었는데 애리조나주립대(ASU)의 찰스 멉스 박사와 조지아 대학의 카렌 번스 박사가 함께 조사했다. 멉스 박사는 ASU 나우 인터뷰를 통해 “번스 박사가 와보라고 연락을 하면서 ‘와서 보고 비명 지르지 말라’고 얘기하더군요. 아주 조심스럽게 샅샅이 조사했다며 와서 함께 토론해보자고 하더라”고 털어놓았다. 이어 “가서 보니 그녀가 무슨 얘기를 한건지 금방 알겠더라. 그 두개골은 틀림없이 여자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두 사람은 이 유해가 실제로 풀라스키 것이며, 다른 누군가의 것으로 바꿔치기한 것이 아니란 점을 입증해야 했다. 두개골의 상처를 살폈더니 말을 타다 전투 중 생겨난 것이 풀라스키의 부상 얘기와 일치했다. 그 다음으로 DNA가 딸들에게 내리 유전될 것으로 보고 풀라스키의 손녀들 것과 일치하는지 대조해봤다. 하지만 DNA 분석 기술이 발전되지 않아 어떤 결론도 낼 수 없었다. 해서 유해는 다시 기념비 아래 안장됐고 두 사람의 연구는 하나의 의견으로 분류됐다.
그런데 최근 다른 세 사람이 이 문제를 다시 들여다보고, 발전된 DNA 분석 기법 덕분에 두개골의 DNA가 풀라스키 후손들 것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점을 밝혀냈다. 유엔 통계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1.7% 정도는 두 성을 모두 갖고 태어난다. 멉스 박사는 어릴 적부터 남자로 양육된 풀라스키가 자신이 여성이거나 양성이란 사실을 믿지 못하고 다만 “뭔가 잘못됐다”는 점만 알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 시절로 돌아가도 그들은 알지 못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