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에 백기 든 빅테크… 메타 ‘팩트체킹’ 중단

트럼프에 백기 든 빅테크… 메타 ‘팩트체킹’ 중단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5-01-09 04:24
수정 2025-01-09 04: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저커버그 “표현의 자유 돌아갈 것”
‘엑스’와 유사 기능 추가 도입 밝혀
베이조스는 “멜라니아 다큐 제작”

이미지 확대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 AP 연합뉴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취임을 앞두고 빅테크 거물들이 하나둘 굴복하는 모양새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가 트럼프 당선인의 부인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한다고 밝힌 데 이어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도 보수 진영에서 “좌편향된 검열”이라고 비난해 온 ‘팩트체킹’(사실확인)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날 저커버그 CEO는 “지금은 ‘표현의 자유’라는 미국의 근본정신으로 돌아갈 때”라면서 “팩트체커(가짜뉴스 검열자)를 없애고 엑스(X·옛 트위터)의 ‘커뮤니티 노트’와 유사한 기능을 추가하겠다”고 말했다. 메타의 콘텐츠 정책을 담당하는 부서를 현 캘리포니아에서 대표적 보수성향 지역인 텍사스로 옮기겠다고도 했다.

메타의 팩트체킹은 AP통신, ABC뉴스, 기타 언론단체 등에 의뢰해 가짜뉴스를 판별해 삭제하거나 표식을 다는 서비스다. 메타는 트럼프 1기 출범 직전인 2016년 12월에 이 기능을 도입한 뒤 8년간 수십억 달러의 금액과 수천 명의 인력을 투자했다.

커뮤니티 노트는 X에 올라온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의견을 달아 집단 스스로 사실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것이다.

그간 극우 진영에서는 ‘소셜미디어(SNS) 플랫폼들이 중국의 자금을 받아 우파에게 과도한 검열 기준을 들이댄다’고 비난해 왔다.

이에 트럼프 당선인은 “메타가 불법적인 일을 저지르면 저커버그 CEO에게 종신형을 내리겠다”고 위협하기도 했다. 오랫동안 트럼프 당선인과 앙숙이던 저커버그 CEO의 이날 발표는 그가 트럼프 당선인 진영의 입장에 완전히 동조했음을 보여 주는 사례로 풀이된다.

CNN방송은 “이제 메타의 플랫폼들이 온라인 오물통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베이조스 아마존 회장도 트럼프 당선인 지지를 표명하고 멜라니아 여사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로 해 논란이 됐다. 그가 사주로 있는 워싱턴포스트(WP)에서는 최근 ‘트럼프 비위 맞추기’를 풍자하는 만평 게재가 거부당하자 작가가 사직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2025-01-0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