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메니아 대통령, 7년 임기 절반 채우고 사임… ‘명예직’ 무력감 토로

아르메니아 대통령, 7년 임기 절반 채우고 사임… ‘명예직’ 무력감 토로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2-01-24 02:44
수정 2022-01-24 10: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8년 의원내각제 채택… 대통령 실권 없어
3년 10개월 전 취임 후 ‘실권자’ 총리와 대립
“견제·균형에 기반한 국가 시스템 만들어지길”

아르멘 사르키샨 아르메니아 대통령. AFP 연합뉴스
아르멘 사르키샨 아르메니아 대통령. AFP 연합뉴스
아르멘 사르키샨 아르메니아 대통령이 7년 임기 중 4년을 채 채우지 못하고 23일(현지시간) 사임했다.

인테르팍스통신에 따르면 사르키샨 대통령은 이날 웹사이트를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오랜 시간 고민한 끝에 4년 가까이 맡아온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기로 했다”며 “이 결정은 결코 감정적인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도출한 것”이라고 밝혔다.

사르키샨 대통령은 정치인으로서의 무력감을 토로했다. 그는 “나라와 민족이 어려움에 처한 시기에 대통령이 대내외 정책의 근본적인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단을 갖고 있지 않다”면서 “민족적 단결이 필요한 이 어려운 시기에 대통령제가 가십거리와 음모론의 대상이 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아르메니아는 1991년 소련에서 독립한 이후 대통령제를 채택했으나, 국민투표를 통한 헌법 개정으로 2018년 의원내각제로 전환했다. 이로 인해 대통령직은 7년마다 의회가 선출하는 사실상 명예직으로 강등됐고, 재선도 금지됐다. 이에 대해 2018년 두 번째 임기를 마친 세르지 사르키샨 당시 대통령이 총리가 돼 정권을 연장하려는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실제로 그는 퇴임 후 곧바로 총리에 올랐으나 이에 반발한 퇴진 시위에 보름 만에 스스로 사임했다. 이어 반정부 시위를 주도한 야권의 니콜 파시냔 의원이 후임 총리로 선출됐다.

파시냔 총리가 집권하기 한 달 전인 2018년 4월 취임한 사르키샨 대통령은 임기 내내 여러 문제로 총리와 대립해왔다. 특히 2020년 재발한 아제르바이잔과의 전쟁에서 아르메니아가 패한 뒤 군 총참모장과 총리가 서로 해임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군부의 편을 들며 파시냔 총리와의 갈등이 극에 달하기도 했다.

사르키샨 대통령은 성명에서 “내 제안의 목적은 정부의 한 형태(의원내각제)에서 다른 형태(대통령제)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견제와 균형에 기반한 국가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라면서 “헌법개정위원회가 설치돼 기쁘고, 정부에 감사하다. 개헌이 이뤄져 차기 대통령이 보다 균형 잡히고 조화로운 환경에서 일할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최기찬 서울시의원, 오는 11월 서서울미술관 개관 앞두고 지역미술인들과 간담회 개최

최기찬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2)이 지난 8일 오는 11월 개관을 앞둔 서서울미술관의 건립 및 개관 현황을 점검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최기찬 의원을 비롯해 서울시립미술관 정소라 학예부장, 박나운 서서울미술관 관장, 지역미술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서울미술관의 개관 준비 상황과 향후 운영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서서울미술관은 금천구 독산동 1151번지 외 1필지(금나래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연면적 7186㎡, 부지면적 7370㎡(지상1층/지하2층) 규모로 서울시 유일의 ‘뉴미디어 특화 미술관’으로 건립되고 있다. 개관 전시로는 뉴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미디어 특화 기관으로서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SeMA 퍼포먼스’와 ‘뉴미디어 소장품전’ 등이 계획되어 있다. 간담회에 참석한 지역미술인들은 서서울미술관이 단순한 전시공간을 넘어 지역주민과 예술가들이 함께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지역참여형 공공미술관’으로 운영되기를 희망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최 의원은 “2015년부터 시작된 서서울미술관 건립 사업이 10년여의 기간을 거쳐 마침내 결실을 보게 되어 기쁘다”면서 “서서울미술관이 서남권의 문화격차를
thumbnail - 최기찬 서울시의원, 오는 11월 서서울미술관 개관 앞두고 지역미술인들과 간담회 개최

아르메니아 헌법에 따라 조기 대통령 선거는 다음달 중순에 실시될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