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실리 네벤자 주유엔 러시아 대사가 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10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국 수임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10.1. 연합뉴스
주유엔 러시아 대사가 북한의 핵 보유가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주장했다.
바실리 네벤자 대사는 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국 수임 관련 회견에서 김선경 북한 외무성 부상이 ‘핵 포기 불가’ 입장을 재확인한 것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러시아가 여전히 북한의 비핵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의에 “김 부상이 말한 것은 좋든 싫든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이며, 그것(핵 보유)은 이미 북한 헌법에 명시돼 있다”라고 말했다.
네벤자 대사는 “이 같은 현실은 북한이 경험하는 위협으로 정당화된다”며 “북한은 한반도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 즉 한미일의 도발적인 군사 활동으로 실제로 위협을 느끼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앞서 김 부상은 지난달 29일 유엔총회 일반토의 기조연설에서 “우리에게 비핵화하라는 것은 곧 주권을 포기하고 생존권을 포기하며 헌법을 어기라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네벤자 대사는 러시아가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하냐는 질의에는 “우리는 그것을 인정할 필요가 없다. 그것은 공공연한 비밀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는 국제사회의 핵확산을 저지해야 할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유엔 대사가 앞장서 북핵을 용인하고 있는 꼴이다.
그는 “북한은 다른 일부 국가와 달리 그것(핵 보유)을 숨기지 않는다”며 “내가 이름을 밝히지 않더라도 여러분은 ‘사실상 핵보유국’들의 이름을 이미 알고 있다”라고 했다.
북한의 우크라이나 전쟁 참전으로 관계가 돈독해진 러시아가 ‘보은’(報恩) 차원에서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모양새다.
앞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도 지난해 9월 26일 자국 외무부 웹사이트를 통한 질의응답에서 “북한에 적용되는 ‘비핵화’라는 용어 자체가 모든 의미를 잃었다”며 “우리에게 이것은 종결된 문제”라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