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가 만든 서울 중학천 복청교 교명주(다리 이름을 새긴 기둥)가 90년 만에 탑골공원 밖으로 이관된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역사박물관은 1926년 일제가 만든 복청교 교명주를 이관해 박물관에서 전시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복청교는 조선시대 태종 당시 삼청동에서 청계천으로 흐르는 중학천에 만들어진 ‘혜정교’를 일제가 개축하면서 새로 지은 이름이다. 높이 112㎝, 너비 25.9㎝인 교명주의 전면에는 한자로 ‘복청교’(福淸橋)라고 음각돼 있다.
교명주는 1986년 탑골공원 내에 산책로를 조성하기 위해 공사를 진행하다 원각사비 앞 지하 1m 지점에서 발견됐다. 박물관 측은 “일제 강점기에 개축된 다리의 교명주를 1919년 3·1 독립선언서 낭독 장소이자 항일운동의 본거지인 탑골공원 내에 놔두는 것은 부적합하다는 비판이 계속 제기돼 왔다”고 설명했다.
박물관은 교명주를 가져와 현재 사라진 중학천에 대한 실물 자료로서 서울의 물길에 대한 연구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7월 조선시대부터 복원 이후 현재까지 청계천의 역사적 가치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청계천상설전이 재개관하면 전시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5-04-0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