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문 합창시극 ‘총진군’ 60년 만에 발굴

양명문 합창시극 ‘총진군’ 60년 만에 발굴

입력 2013-07-26 00:00
수정 2019-10-23 14: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연극 형식·음악 요소 더해진 장시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은 시인 양명문(1913~1985)이 한국전쟁기인 1953년 7월 국방부 정훈국이 발행한 월간지 ‘국방’ 25호에 게재한 군독시(群讀詩) ‘총진군’이 발굴 공개됐다.

근대서지학회가 발간하는 반년간 잡지 ‘근대서지’ 최신호(7호)가 공개한 ‘총진군’은 시 창작에 연극적 형식과 음악적 요소를 가미한 슈프레히코어, 즉 합창 시극으로 무려 6쪽에 달하는 장시다.

‘봄이 온다/삭풍이 세찬 벌판에/눈보라 휘몰아치던/차디찬 엄동설한은 지나가고/가지마다 새싹이 움터오는 봄이 온다’로 시작해 ‘조국의 완전통일을 위하여/끝까지 싸우자!/총진군이다!’로 끝맺는다. 이 시는 그의 개인 시집은 물론 3년 전 나온 ‘양명문 시선집’에도 실려 있지 않은 미발굴 작품이다.

박태일 경남대 교수는 “당시 육군 종군작가로 활약했던 양명문의 이 시는 전쟁기 남북한 모두에서 본보기를 볼 수 없는 가장 독창적인 형식의 작품”이라면서 “슈프레히코어는 1930년대를 앞뒤한 시기, 계급주의 문학에서 잠시 나타났다 사라졌던 소규모 연극 유형으로 선동, 선전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전쟁기에 모습을 바꿔 다시 선보인 것”이라고 분석했다. 평양 출신의 월남 시인인 양명문은 ‘송가’ ‘화성인’ 등의 시집을 남겼으며 가곡 ‘명태’의 작사가로도 유명하다.

이순녀 기자 coral@seoul.co.kr

2013-07-2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