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평
제33회 공초문학상 심사는 심사위원 3인이 각각 추천한 후보 시편들을 함께 읽어 나가면서 진행됐다. 이 시편들은 우리 서정시의 한 극점을 이룬 절편들이어서, 그 미학적 성취를 두고 비교 우위적 판단을 내리기는 매우 어려운 일에 속하였다. 결과적으로 심사위원들은 우리 현대시의 최전선에서 매우 균질적인 가편들을 써왔고 지금도 그러한 성과들을 현재진행형으로 이뤄 가고 있는 장석남의 근작 ‘내가 사랑한 거짓말’에 실린 ‘아버지 옷’을 수상작으로 선정했다.장석남은 감각의 구체와 기억의 아득함을 결속하며 유추하는 시작 방법을 줄곧 유지하고 심화해 온 시인이다. ‘새떼들에게로의 망명’(1991) 이래 이러한 방법을 지속적으로 견지해 왔지만, 근자에 들어 그 원리를 기억보다는 현저하게 감각으로 이월하면서 그 음역 또한 그리움에서 심미성으로 전이해 왔다. 이번 ‘내가 사랑한 거짓말’은 이러한 서정의 원숙한 차원을 통해 자연과 내면과 타자를 폭넓게 바라보고 사랑하려는 울림을 담고 있는 시집이다.
수상작 ‘아버지 옷’은 중학생 때 다락방에서 우연히 입어 본 ‘아버지 옷’을 통해 아버지의 생애를 떠올리는 아프고도 아름다운 사부곡이다. 소매가, 어깨 끝이 닳고 안감은 너덜거리는 ‘아버지 옷’은 어린 시인에게는 컸지만 그 안에서 시인은 더없이 소중한 무엇을 느꼈다. 이제는 아들이 자신의 옷을 입고 나서는 것을 바라보면서, 시인은 어느덧 가계(家系)의 수직성이 다시 자신을 함박눈이 쌓이던 그 다락방으로 인도해 가는 순간을 느낀다. 그렇게 꽃이 꽃을 벗고 열매가 열매를 입듯이 남겨진 ‘아버지 옷’은 시간을 역류할 수 없는 우리의 한계와 함께 그 한계를 순간적으로 넘어서고 탈환해 내는 서정시의 역설적 정수를 보여 준 것이다.
이근배(위원장·시인), 이향아(시인), 유성호(문학평론가·글)
2025-05-2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