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받는 약자에게 희망·사랑의 빛 비추자”

“고통받는 약자에게 희망·사랑의 빛 비추자”

김성호 기자
입력 2016-03-24 17:50
수정 2016-03-25 01: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종교계 수장들 부활절 메시지

부활절(27일)을 앞두고 종교계 수장들이 나라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메시지를 나란히 발표했다. 수장들은 한결같이 “주변에 고통받는 약자들이 많다”며 “이들에게 희망과 사랑의 빛을 비추자”고 당부했다.

이미지 확대
염수정 추기경 연합뉴스
염수정 추기경
연합뉴스
●천주교 염수정 추기경(서울대교구장) 부활의 빛과 기쁨, 평화가 한반도 방방곡곡과 북녘의 동포들, 나아가 온 세상 곳곳에 가득하기를 바란다. 주님 부활의 은총으로 북한의 핵 문제가 잘 해결되고, 남북 관계도 단절과 적대 관계가 아닌 소통과 협력 관계로 변화되어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에 평화가 넘치길 기도드린다. 우리 신앙인들은 부활의 빛을 받은 사람들로서 더이상 어둠 속에 머물지 않고, 믿음 안에서 희망과 사랑의 빛을 세상을 향해 비추도록 노력하자.

이미지 확대
김영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김영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NCCK(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김영주 총무 ‘주님의 양’을 이웃으로 환대하고 섬김으로 우리는 사랑을 실천하게 된다. 우리는 이 시대 ‘주님의 양’은 누구이며 부활하신 예수께서 가장 만저 찾아가신 갈릴리가 어디인지 깨달아야 한다.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세월호에 갇혀버린 우리의 이웃, 죽음의 문화 속에서 제일 먼저 죽어가는 어린 생명들, 전쟁의 위기로 먹구름이 드리워진 한반도. 절망과 상처가 삼켜버린 듯한 오늘의 세상에서 부활의 빛을 세상에 건네자.

이미지 확대
이영훈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
이영훈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이영훈 대표회장 이제는 부활의 생명을 온누리에 전해야 한다. 우리의 삶 속에서 부활의 생명이 나타나야 한다. 주님께서 이 땅에서 행하신 중요한 일 중 하나가 바로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신 것이다. 우리 주변에는 약한 자, 소외된 자, 고통 가운데 있는 자가 있다. 그들이 주님께 나아갔을 때 외면치 아니하신 것처럼 우리 주위의 약한 자들을 품어야 한다. 그리고 관심을 가지고 사랑으로 돌보고 치료해 줘야 한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김규남 서울시의원, ‘에너지전략 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 대표발의

서울시의회가 급변하는 국내외 에너지·환경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서울시 에너지 정책의 장기적 비전과 실행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이하 특위) 구성을 추진한다. 김규남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송파1)이 12일 ‘서울시의회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위 구성 결의안은 급성장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에너지 산업을 서울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한 종합 전략 마련을 위해 발의됐으며 27명의 의원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현재 서울시는 에너지의 90% 이상을 외부에 의존하고 있으며, 전기차·데이터센터·AI 산업 확대로 전력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도심 밀집 구조 속에서 전력기반 시설이 노후화되어 안전성과 효율성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32년 만에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기능을 분리해 ‘기후에너지부’ 또는 ‘기후에너지환경부’의 신설을 추진하는 중앙정부 개편에 발맞춰,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에너지 정책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김 의원은 “AI산업 확대와 데이터센터 증가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안정적 전력 공급
thumbnail - 김규남 서울시의원, ‘에너지전략 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 대표발의

2016-03-2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