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톡톡 다시 읽기] ‘日셰익스피어’ 나쓰메 소세키는

[고전 톡톡 다시 읽기] ‘日셰익스피어’ 나쓰메 소세키는

입력 2010-03-22 00:00
수정 2010-03-2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만드는 일본의 ‘국민작가’

지금으로부터 거의 100년 전, 일본의 셰익스피어라고 불려졌던 ‘국민작가’ 나쓰메 소세키. 소세키(漱石)는 ‘진서(晋書)’에서 따온 필명이다.

이미지 확대
1000엔 지폐 속의 나쓰메 소세키
1000엔 지폐 속의 나쓰메 소세키
진나라 손초가 침석수류(枕石漱流), 즉 돌을 베개 삼고 시냇물로 양치질한다고 말해야 할 것을 침류수석(枕流漱石), 시냇물로 베개를 삼고 돌로 양치질한다고 잘못 말했다. 그러나 주위에서 아무리 틀렸다고 해도 손초는 흐르는 물을 베개로 삼는 것은 귀를 씻기 위함이고, 돌로 입을 헹구는 것은 이를 닦기 위함이라고 우겼다고 한다. 억지스러울 정도로 자기 고집을 밀고 나간다는 것이 소세키의 뜻인 셈이다.

그 이름처럼 소세키는 마흔이 가까운 나이에 첫 소설을 쓴다. 이후 제국대학(지금의 도쿄대학) 교수직을 때려치우고, 신문사 전속 작가로 12년 동안 13편의 장편소설과 수십 편의 중·단편 소설을 쓰다 49세에 절명한다.

일본의 셰익스피어, 국민작가라는 별칭은 몇몇 호사가들의 칭찬만은 아니다. 그는 1900년 서른셋의 나이에 국비유학생으로 영국에 갔던 인재였고, 1909년에는 당대 손꼽히는 잡지 ‘태양’의 작가 투표에서 1등을 차지한 인물이기도 했다. 그 명성은 사후까지도 계속 이어져, 1984년부터 2004년 가을까지 20년 가까이 1000엔짜리 일본 지폐에 그의 초상이 새겨져있었다.

지금까지도 교과서를 비롯해 각종 여론조사, 인기투표, 판매량 등등에서 늘 손꼽히는 작가이다.

이런 소세키의 인기는 가장 국민다운, 가장 일본다운 대표 작가이기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그는 국민을 만들고, 국민과 비국민을 가르는 20세기 국가주의 시선에서 벗어나는 작가다.

소세키는 ‘개성’을 내세운 인물들을 통해 돌로 입을 헹구다 모든 이빨이 와장창 나갈지언정 멈추지 않는 다양한 삶의 모습을 보여 준다. 그의 작품은 소소한 일상을 예리하게 파헤치고, 기존의 경계를 넘나드는 모습을 보여 주고, 독자들에게 삶을 재창조하는 힘을 불어 넣어준다. 그래서 나쓰메 소세키는 국민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만드는 ‘국민’ 작가이다.

서울신문·수유+너머 공동기획
2010-03-2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