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소원 명박급사’…막말 리트윗 논란

‘새해소원 명박급사’…막말 리트윗 논란

입력 2012-10-26 00:00
수정 2012-10-26 16: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선국면 악재 우려에 “의원 되기 전 일..그정도 풍자도 안되나”

민주통합당 김광진 의원이 올해초 현직 대통령의 ‘급사’(急死)를 언급한 글을 리트윗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비례대표 초선인 김 의원은 지난 1월22일 자신의 트위터에 “새해소원은 뭔가요, 명박 급사”라는 글을 리트윗했다. 그러면서 “꼭 동의해서 ‘알티’하는 건 아니지 않다는 확신을 저는 가지고 있는 것”이라는 ‘이중부정’의 문구도 덧붙였다.

앞서 김 의원은 지난해 6월1일에는 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남북간 비밀접촉과 관련, ‘<‘北 비밀접촉’ 이례적 공개..파장일듯>’ 이란 기사를 리트윗하면서 “언젠가부터 북한이 더 믿음이 가”라는 글을 올렸다.

지난해 10월3일에는 당시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였던 나경원 전 의원와 관련, “나경원의 취미가 ‘아이와 놀아주기’래”라는 글을 리트윗하면서 “알몸으로 벗겨놓고..”라고 남겼다.

김 의원은 최근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에서 6.25에 참전했던 백선엽 장군을 ‘민족의 반역자’로 표현해 새누리당 의원들의 반발을 샀었다.

1981년생인 김 의원은 민족문제연구소 전남동부 사무국장 출신으로, 4ㆍ11 총선에서 청년 비례대표 경선에서 1위를 차지, 국회에 입성했다. 지난 8일 북한군 병사의 ‘노크귀순’ 사실을 처음으로 공개하며 쟁점화하기도 했다.

민주당은 김 의원의 ‘막말 리트윗’ 논란에 대해 공식적 반응은 자제했지만 곤혹스러워하는 표정이 역력했다.

일각에서는 4ㆍ11 총선 당시 ‘김용민 막말’ 파문이 재연되면서 대선 국면에서 악재로 작용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다.

한 재선 의원은 “의원이 되기 전에 한 말이긴 하지만 부적절한 표현이어서 빌미를 준 측면이 있다”며 “대선 국면에서는 작은 실수라도 저지르면 안 된다. 당에 도움이 안 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선대위 핵심 인사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부적절하다”면서도 “공인이 되기 전에 리트윗한 것이니만큼 크게 문제 삼을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당사자인 김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사과가 필요한 일이라면 사과할 수 있는데, 일반 국민 신분 일때 남겼던 말을 공인이 됐을 때와 동일한 기준으로 말하는 건 안맞는게 아닌가”라며 “30세 일반 청년이 의원 되기 전에 한 일인데, 그 정도 풍자도 용납되지 못하는 그런 나라냐”고 반문했다.

그는 “그 용어를 직접 썼다면 (얘기가) 다르긴 하겠지만 기본적인 풍자가 담긴 것이지 실제적인 살인의 의도를 담은 것은 아니다”라며 “트위터 공간에 쓴 용어 하나하나에 대해서까지 말하는 게 생산적인 일인지 생각은 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