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대결 여론조사 분석
4·24 재·보궐 선거를 향한 정치권의 시계가 한층 빨라지고 있다.지난 11일 귀국한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가 서울 노원병 출마를 공식화하면서 여야가 제각기 승기를 꽂기 위한 치열한 셈법에 들어갔다. 안갯속인 이 지역 선거 지형도는 야권 후보 단일화 여부에 따라 크게 굽이칠 전망이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서울 노원병 지역의 4·24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한 김지선(오른쪽) 진보정의당 후보가 12일 남편인 노회찬(가운데) 진보정의당 공동대표와 함께 노원구 마들역 인근 상가를 돌며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양자대결로 좁혀지면 야권 승리가 무난해 보인다. 야권의 고심은 3파전 이상으로 쪼개질 경우 새누리당에 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데 있다. 안 전 교수와 김 후보 간 전략적 연대 여부에 시선이 쏠리는 이유다.
노원병은 전통적인 야당 강세 지역이다. 18대 국회에서 홍정욱 한나라당 의원이 43.1%의 지지율로 잠시 탈환한 적을 제외하곤 17대 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원(45.2%), 19대 노회찬 통합진보당 의원(57.2%) 등 야당세가 우월하다.
하지만 야권 후보군이 사분오열한다면 판세는 장담할 수 없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10일 노원병 유권자 7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선 안 전 교수로 야권 단일화가 이뤄지고 새누리당 후보를 이준석 전 비상대책위원으로 가정할 경우 안 전 교수 49.7%, 이 전 위원 39.6%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자대결로 전환하면 1, 2위 간 싸움이 오차범위(±3.7% 포인트) 내 접전으로 좁혀졌다. 안 전 교수 35.4%, 이 전 위원 29.5%, 이동섭 민주통합당 노원병지역위원장 13.2%, 김지선 진보당 후보 9.2% 순이었다. 4·24 재·보선이 평일에 치러지는 데다 여권 후보로 누가 나서느냐에 따라 안 전 교수나 야권에 만만치 않은 선거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당장 민주당 내에서도 자체 후보를 내면 안 된다는 경고음이 높다. 비주류인 황주홍 의원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안 전 교수를) 적대 세력시해서는 정치 도의적으로 국민 정서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우선 민주당을 위해 도움되지 않는다”며 후보를 내지 말 것을 주장했다.
안철수 대항마 찾기에 고심 중인 새누리당은 진다고 해도 크게 손해 볼 것은 없다는 분위기다.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이길 수 있는 인물을 공천한다는 게 대원칙”이라면서 “지역 여론과 지지율 등 경쟁력을 종합해 후보를 선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3-03-1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