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화 행정예고’ 종료 앞두고 공방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행정예고 기간 종료를 앞둔 마지막 주말, 여야는 찬반 당위성을 강조하는 한편, 지지 여론 결집에 나섰다.
국회사진기자단
새누리당 원유철(왼쪽) 원내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가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접견실에서 열린 리커창(李克强) 중국 국무원 총리와의 면담이 끝난 뒤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여야는 3일 무쟁점 법안 처리와 공석인 국회 국토교통위원장 선출 등을 위한 ‘원포인트 본회의’를 열기로 전격 합의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회사진기자단
새누리당은 확정고시를 끝으로 국정화 공방에서 발을 빼겠다는 분위기가 강하다. 야권의 국정화 반대 공세에 맞서 민생·경제 법안과 예산안 처리를 강조하며 맞불을 놓을 계획이다. 총선 체제로 먼저 전환해 승기를 잡겠다는 의중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야당은 확정고시 전까지 반대여론 조성에 당력을 쏟아붓는 한편, 내년 총선까지 원내외에서 국정화 반대 투쟁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문재인 대표는 이날 서울 관악산 등산로에서 반대 서명을 받으면서 “김무성 대표와 새누리당이 검인정제를 부인하고 국정교과서를 꼭 해야 한다면 그것은 보수우파가 아니라는 것을 고백하는 것이다. 친일과 독재의 후예들일 뿐이라는 것을 스스로 고백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문 대표는 이어 “확정고시가 나더라도 굴하지 않고 집필거부와 대안교과서 운동, 반대서명 운동을 계속할 것이고, 헌법소원을 비롯한 법적 방법도 강구할 것”이라며 “총선에서도 중요 공약으로 삼겠다”고 덧붙였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5-11-02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