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도 ‘사드 후폭풍’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지역 발표를 앞두고 정치권에서도 전운이 감돌고 있다. 후보지로 거론되는 곳에서는 주말에도 거센 반발 움직임이 일었고, 자칫하면 영남권 신공항에 이어 또 한 차례 대규모 지역갈등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야3당은 국내외 모두에서 갈등의 소지가 있는 사드 배치를 정부가 갑작스럽게 발표했다면서 국회 검증 및 동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반발했다.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10일 보도자료를 내고 “사드 배치는 한반도 평화와 국민의 생존, 나아가 국가의 명운을 결정할 국가적 의제”라면서 “국회의 비준을 받아야만 하며, 국민투표에 부치는 것도 심각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전 대표는 “먼저 국방위와 외교통일위가 공동으로 상임위를 소집해 사드 배치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국민께 소상히 알려야 한다. 필요하다면 국회의원 전체가 참여하는 전원위원회에서도 광범위하게 논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대변인은 “신중하게 판단됐어야 할 사드 배치에 대해 청와대가 독단적이고 섣부른 결정으로 논의 자체를 차단하고 말았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이 대변인은 “이후 절차는 국민의 의사와 외교적 상황을 면밀하게 살펴 신중하게 이뤄져야 하며, 더민주는 사드 배치의 효용성과 관련 대책을 엄밀하게 따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의) 결정이 너무나 즉흥적이고 일방적이었다”면서 “각 당이 공식입장을 정리해 다음주 대책 논의를 위한 여야 4당 대표회담을 열자”고 제안했다.
심 대표는 “사드 배치가 불러올 직간접적 비용은 상상을 초월한다. 공들여 쌓아온 대(對)중·대러 관계가 크게 훼손될 것이고 북핵 제재를 위한 국제공조도 일거에 무력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원론적으로 사드 배치에 찬성하는 것이 공식 입장이다. 다만 후보지로 거론되는 곳을 지역구로 둔 의원들 사이에서 미묘한 움직임이 엿보인다. 새누리당 이완영(경북 고령·성주·칠곡) 의원은 “한마디로 사면초가”라고 토로했다. 이 의원은 “칠곡만의 문제가 아니고 대구·경북(TK) 지역 전체가 한목소리로 사드 배치를 반대하고 있다”면서 “영남권 신공항 무산과 관련해 시·도민들이 격앙돼 있는 상황이어서 더 큰 반대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6-07-1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