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악명 높은 악수’…김정은과는 어떻게

트럼프의 ‘악명 높은 악수’…김정은과는 어떻게

오세진 기자
입력 2018-06-11 14:58
수정 2018-06-11 17: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트럼프 ‘기이한 악수’에 외국 정상들 당황
최근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악수 싸움’
북미 회담 앞두고 WSJ “역사적인 악수” 소개
지난 4월 문 대통령·김정은 ‘세기의 악수’ 평가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합성 사진.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합성 사진.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회담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전 세계가 주목하는 가운데 공개석상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만나서 어떤 장면을 연출할지도 관심거리다. 특히 외국 정상을 만날 때 짓궂게 악수하는 것으로 유명한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나눌 ‘세기의 악수’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회담은 사상 첫 북·미정상회담이자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정착시킬 수 있는 비핵화 담판이라는 점에서 두 사람의 악수는 커다란 역사적 상징성을 띨 전망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정상들과의 만남에서 돌발적인 악수 자세로 여러 차례 화제가 됐다. 지난해 2월 트럼프 대통령과 가장 먼저 만났던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19초간 이어진 긴 악수에 당황해하면서 “나를 봐 달라(Please, Look at me)”는 말과 함께 어색한 미소를 지었다. 인사라기보다 힘겨루기처럼 보였다는 언론의 보도가 이어졌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는 아예 악수를 나누지 않았다. 지난해 3월 열린 정상회담에서 사진기자들의 악수 요청에 메르켈 총리가 “악수할까요?”라고 물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못 들은 척 악수를 하지 않고 얼굴을 찌푸렸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를 만나 손을 꼭 쥐고 토닥인 것과는 매우 상반된 모습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악수 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지난 8일(현지시간) 캐나다 퀘벡주 샤를부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마크롱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손등에 엄지손가락 자국이 하얗게 날 정도로 손을 꽉 잡았다. 71세의 트럼프 대통령은 40세의 마크롱 대통령이 가진 악력에 다소 얼굴을 찡그리기도 했다고 AFP는 묘사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정상들과의 만남에서 돌발적인 악수 자세로 여러 차례 화제가 됐다. 지난해 2월 트럼프 대통령과 가장 먼저 만났던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19초간 이어진 긴 악수에 당황해하면서 “나를 봐 달라(Please, Look at me)”는 말과 함께 어색한 미소를 지었다. EPA 연합뉴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정상들과의 만남에서 돌발적인 악수 자세로 여러 차례 화제가 됐다. 지난해 2월 트럼프 대통령과 가장 먼저 만났던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19초간 이어진 긴 악수에 당황해하면서 “나를 봐 달라(Please, Look at me)”는 말과 함께 어색한 미소를 지었다. EPA 연합뉴스
지난해 3월 열린 정상회담에서 사진기자들의 악수 요청에 앙겔라 메르켈(왼쪽) 독일 총리가 “악수할까요?”라고 물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못 들은 척 악수를 하지 않고 얼굴을 찌푸렸다. AP 연합뉴스
지난해 3월 열린 정상회담에서 사진기자들의 악수 요청에 앙겔라 메르켈(왼쪽) 독일 총리가 “악수할까요?”라고 물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못 들은 척 악수를 하지 않고 얼굴을 찌푸렸다.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은 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악수 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지난 8일(현지시간) 캐나다 퀘벡주 샤를부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마크롱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손등에 엄지손가락 자국이 하얗게 날 정도로 손을 꽉 잡았다.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은 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악수 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지난 8일(현지시간) 캐나다 퀘벡주 샤를부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마크롱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손등에 엄지손가락 자국이 하얗게 날 정도로 손을 꽉 잡았다. AFP 연합뉴스
지난해 5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에서도 트럼프 대통령과 마크롱 대통령은 맞잡은 손을 여러 차례 강하게 위아래로 흔들었고, 막판에 트럼프 대통령이 손을 놓으려 하자 마크롱 대통령은 다시 한 번 손을 움켜쥐고 지지 않겠다는 등 눈을 응시하며 6초 가량 악수를 이어갔다.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만남을 앞두고 이전에 먼저 이뤄졌던 ‘역사적인 악수 : 과거의 정상회담’을 소개했다. 1972년 2월 당시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과 마오쩌둥 중국 국가주석의 베이징 회담은 미·중 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당시 미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했던 닉슨 전 대통령은 이를 “세계를 바꾼 한주”라고 표현했으며, 미국 정부는 이 회담 이후 ‘하나의 중국’ 원칙을 수용했다.

1978년 9월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미국 대통령 공식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지미 카터 당시 미국 대통령과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 메나헴 베긴 이스라엘 총리간 회담은 중동평화에 초석을 닦은 것으로 평가된다. 여기서 카터 대통령의 중재로 이스라엘은 시나이반도를 이집트에 돌려주고 이집트는 이스라엘 선박에 수에즈운하를 연다는 역사적 협상이 맺어졌고, 이는 사다트와 베긴에게 노벨평화상을 안겼다.

1985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1986년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1987년 미국 워싱턴, 1988년 러시아 모스크바로 이어지는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 미하일 S.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의 회담도 역사적 만남으로 꼽힌다. 선거운동 기간 소련을 ‘악의 제국’이라고 표현했던 레이건 전 대통령은 수년에 걸쳐 고르바초프 서기장과 회담하며 전략 핵무기 감축 등의 합의를 이뤘으며, 냉전 종식의 길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2013년 12월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장례식장에서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라울 카스트로 전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과 조우해 손을 맞잡은 것도 역사적인 ‘악수’로 꼽힌다. 이 ‘깜짝 악수’는 수십 년간 적국으로 존재했던 두 나라의 정상이 공개석상에서 나눈 첫 악수였다. 몇 달 후 양국 관계는 급격한 해빙기를 맞았다. 2015년 7월 외교 관계가 복원됐고, 오바마 전 대통령은 88년 만에 미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쿠바를 방문했다. 미국은 쿠바에 대한 경제제재를 해제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명지축구회 창립 48주년 기념 축구대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8일 명지전문대학교 운동장에서 열린 생활체육 명지축구회 창립 48주년 기념 친선 축구대회에 참석했다. 1977년 창단 이후 서대문구 내 명문 구단으로 자리매김한 생활체육 명지축구회(회장 장영민)는 반세기 가까운 역사 동안 각종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둬 왔다. 기념 축구대회에는 30대부터 60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회원들이 참여해 친선을 도모했다. 이날 행사는 김 의원의 지역구 내 축구회인 모래내축구회, 북가좌축구회, 연가축구회도 함께 참여해 운동장에서 선의의 경쟁을 펼치며 지역 축구 발전을 위한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홍성일 총무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김용일 시의원을 비롯해 명예대회장인 김재곤 서대문구축구협회장, 송주범 국민의힘 서대문을 지역위원장, 다수의 구의원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축사를 통해 “반세기 동안 단순한 체육 동호회를 넘어 세대를 아우르고 소통하는 지역 공동체의 구심점 역할을 해 온 명지축구회 선배, 후배 회원들의 삶의 에너지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라며 “성숙을 넘어 완숙으로, 반세기를 넘어 한 세기를 향해 나아가는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명지축구회 창립 48주년 기념 축구대회 참석

정상들의 악수 외교와 관련해서 지난 4월 김 위원장과 문재인 대통령이 판문점 군사분계선에서 만나 악수한 장면이 오바마 전 대통령과 카스트로 전 의장과의 악수 등을 포함해 ‘세기의 악수’로 평가된다고 각국 외신들이 보도한 바 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오른쪽)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 27일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문재인(오른쪽)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 27일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2 / 5
2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