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정미 정의당 의원은 이날 환경부 국감에서 “지난 8월 마무리된 범정부 차원의 건강영향조사와 예비조사 결과를 모두 공개하고,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해 문제해결 방향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후속 조사도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생리대 안전문제를 정부가 소홀이 다루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해 생리대 파동에 이어 지난주 라돈 생리대까지 발견된 상황인데도 정부가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의원은 “의원실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역학조사에 참여한 사람 중 생리통이 늘었다는 사람 등이 눈에 띈다”면서 “예비조사를 기다리는 국민들이 많은데 두 달이 넘도록 발표하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환경부가 이 의원에게 제출한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예비조사 결과에 따르면 1회용 생리대를 사용하게 되면 생리통, 덩어리혈 증가 등의 증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임기 5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실시한 결과(중복포함) 생리통이 증가한 사람이 54.3%(19명), 가려움증이 증가한 사람이 33.8%(4명), 생리양이 감소한 사람은 38.9%(14명)였다. 이날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한 김은경 환경부 장관을 대신해 자리한 박천규 환경부 차관은 “관계기관과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이 의원은 이날 오전 시민단체 생리대 행동과 함께 국회에서 생리대 안전성 대책을 강화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 의원은 “제품의 안전성 검증은 기업이 하고, 정부가 검증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면서 “식약처가 운영하는 의약외품에 대한 관리기준을 종합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