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에서 ‘이재명 삼행시’…히말라야 원정대 등반 중단 위기

정상에서 ‘이재명 삼행시’…히말라야 원정대 등반 중단 위기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12-20 17:33
수정 2021-12-20 17: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 7위 봉인 히말라야 ‘다울라기리’ (8167m)에 성공한 조철희 히말라야 14좌 원정대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삼행시를 지어 SNS에 올려 물의를 빚었다. 뉴스1
세계 7위 봉인 히말라야 ‘다울라기리’ (8167m)에 성공한 조철희 히말라야 14좌 원정대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삼행시를 지어 SNS에 올려 물의를 빚었다. 뉴스1
히말라야 원정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이름으로 삼행시를 지은 깃발을 펼쳤다가 정치적 중립 논란이 불거졌던 충북 히말라야 원정대가 등반 중단 위기에 놓였다.

20일 충북스포츠공정위원회에 따르면 원정대는 지난 10월 세계 7위 봉인 히말라야 ‘다울라기리(8167m)’ 등정에 성공했다.

문제가 된 것은 원정대가 정상에서 찍은 사진이다.

당시 이들은 이재명 후보의 이름으로 삼행시를 지은 깃발을 들고 사진을 촬영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게시했다.

삼행시 내용은 ‘이재명이 만들어 갑니다, 재능과 추진력으로, 명예로운 대한민국’이었다.

해당 사진은 이 후보가 직접 SNS에 공유해 “해발 8167m 정상에서 전해진 찬바람 담긴 지지 선언이 어떠한 지지 선언보다 제 마음을 따뜻하게 감싸 안아줬다”며 고마움을 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충청북도의 지원을 받아 등반한 원정대가 특정 후보를 지지한 것은 정치적 중립 훼손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회원 자격 정지 1년’ 중징계…예산 전액 삭감충북스포츠공정위원회는 등반대장과 원정대장에게 회원 자격 정지 1년이라는 중징계를 내렸다. 징계가 확정되면 히말라야 원정대를 포함해 충북산악연맹 활동이 불가능해진다.

앞서 충북스포츠공정위원회는 산악스포츠 활성화 지원 예산으로 ‘충북 히말라야 14좌 원정대’ 완등에 필요한 경비를 지원하는 것으로 당초 내년 예산안에 4500만원을 편성한 바 있다.

하지만 충북도의회는 지난 16일 정치 중립 위반으로 원정대 핵심 멤버가 징계를 받으면서 등반 계획이 불투명해졌다는 점 등을 이유로 히말라야 원정대 지원 예산인 산악스포츠 활성화 지원금 전액을 삭감했다.

산악연맹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해와 올해 등반대원 모집도 쉽지 않았다. 예산은 전액 삭감됐고, 핵심 멤버가 징계를 받은 상황이어서 내년 등반 계획이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 초 이사회를 열어 등반 지속 또는 중단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결정할 방침”이라며 “대원 모집과 코로나 상황 추이를 보며 고민해보겠다”고 말했다.

한편 원정대는 2019년 4월 안나푸르나봉(8091m)을 시작으로 2019년 가셔브룸 1봉(8068m), 마나슬루봉(80163m) 원정에 성공했고, 올해 로체봉(8516m)과 다울라기리봉(8167m) 등정에 성공했다.

이소라 서울시의원 “이태원 참사 후속···서울시 장기적 트라우마 대책 관리 주문”

최근 이태원 참사 당시 현장에 투입됐던 소방공무원의 사망 소식은 많은 이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서울시의회에서는 이태원 참사 3년이 흐른 지금 서울시의 대응 인력과 유가족에 대한 정신건강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소라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지난달 28일 열린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을 상대로 “이태원 참사 이후 서울시는 소방·경찰 공무원 등 현장 대응 인력의 심리적 치유와 회복을 끝까지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최근 발생한 소방공무원의 극단적 선택은 후속 관리의 허점을 드러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할 당시 시민건강국에 미국 9·11 테러 이후 트라우마 지원사업을 2099년까지 이어가겠다고 한 것과 같이 서울시도 동일한 지원을 할 것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3년이 지났지만 유가족, 대응 인력, 현장 목격자 중 여전히 치유되지 못한 시민들이 있다”며 “서울시가 이분들을 가족처럼 끝까지 책임지고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의원은 “미국은 9·11 테러 이후 트라우마 지원사업을 2099년까지 이어가
thumbnail - 이소라 서울시의원 “이태원 참사 후속···서울시 장기적 트라우마 대책 관리 주문”

2023년까지 나머지 9개 봉우리 등정을 목표로 세웠지만 이번 예산 삭감으로 등반 계획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