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것이 왔다” 野 균열 조짐… 李리더십 최대 위기

“올 것이 왔다” 野 균열 조짐… 李리더십 최대 위기

김가현 기자
김가현 기자
입력 2022-11-20 20:28
수정 2022-11-21 06: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도부 ‘檢독재대책위’ 꾸렸지만
내부 “鄭 개인비리 당이 과민 대응
이태원 국조·여가부 등 이슈 묻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11.18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11.18 연합뉴스
정진상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정무조정실장의 구속 등 이재명 대표를 겨눈 수사 포위망이 점점 좁혀지면서 민주당의 위기감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일각에서 이 대표에 대한 검찰 소환이 올해 안에 이뤄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당내 분위기가 뒤숭숭하다. ‘이재명 사법 리스크’가 현실화되면서 이 대표의 리더십도 취임 석 달도 안 돼 최대 위기에 봉착한 형국이다.

당 지도부는 이 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가 현실화될 것에 대비해 ‘검찰독재 정치탄압 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전열을 가다듬고 있다. 임오경 대변인은 20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 측근 구속’ 관련 질문에 “윤석열 정권(검찰독재) 정치탄압 대책위에서 이에 대한 ‘검증 자료’를 다 준비하고 있다”며 “정 실장은 구속이 됐지만 기소되고 법정에서 진실 공방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우리 당은 (정 실장과) 함께한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당 안팎에서는 전당대회 시기부터 ‘이재명 사법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던 만큼 ‘올 것이 왔다’는 분위기도 있다. 한 비이재명계 중진 의원은 이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이 대표 입장에서 보면 원래 목적대로 당을 ‘사당화’시켰으니 성공한 것”이라면서 “매우 비판적으로 보고, 이렇게 가면 안 되는데 좀더 지켜볼 예정”이라고 했다. 당사 압수수색이 진행될 당시 결사항전으로 맞섰던 민주당의 단일대오에 금이 가기 시작한 셈이다.

당직자의 개인 비리에 대한 수사에 ‘당 차원의 대응’은 불필요하다는 여론도 감지된다. 박용진 의원은 지난 17일 한 방송에 출연해 검찰 비판 논평을 낸 대변인을 겨냥해 “당 대변인이 일개 당직자의 개인 비리에 과민하게 대응하는 데에 이견이 있다”고 했다. 일각에선 뇌물 및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노웅래 의원에 대해서는 당이 어떠한 보호 조치를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대책위원회가 ‘이재명 호위대’로 전락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나아가 민주당의 정기국회 과제였던 민생법안 통과와 민생 예산 복원,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등에 힘이 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당 관계자는 이날 서울신문에 “이 대표 본인 리스크 때문에 이태원 참사, 여성가족부 폐지 등 모든 이슈가 뒷전이 된 게 황당할 따름”이라면서 “대표 하나 때문에 당이 ‘사상 초유의 당 압수수색’을 당한 상황이 연출됐는데, 과연 대표가 억울한 상황인가”라고 반문했다.

2022-11-2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