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연합 추진하는 정의당, 적지 않은 내홍

선거연합 추진하는 정의당, 적지 않은 내홍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3-11-06 18:15
수정 2023-11-06 18: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정미, 비대위 전환 위해 사퇴
“졸속 합의·함량 미달” 당내 비판

이미지 확대
이정미 정의당 대표가 6일 국회에서 열린 상무집행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정미 정의당 대표가 6일 국회에서 열린 상무집행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정미 대표 등 정의당 지도부가 6일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을 위해 사퇴했다. 비대위 체제에서 제3세력과 연대해 선거연합정당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인데, 당내 반발이 거세다. 선거연합정당이 사실상 위성정당 성격을 띠고 있고, 총선에서 정의당 몫 파이가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면서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상무집행위원회에서 “오늘로 저를 비롯한 정의당 7기 대표단은 물러난다”면서 “더 단단해질 정의당, 더 넓어질 정의당을 위한 결단”이라고 말했다. 정의당은 전날 전국위원회를 열고 민주노총 등 노동 세력, 녹색당·진보당·노동당, 지역 정당 등 제3의 정치세력과 연합정당 형태로 총선을 함께 치르는 방안을 추진하고 선거연합 신당추진 비대위에 전권을 위임하기로 했다.

이 대표는 “다양한 이견과 우려를 표하셨던 모든 분께도 호소드린다. 이제는 단결하고 실천할 시간”이라고 강조했지만, 내홍은 가라앉지 않는 모양새다. 장혜영·류호정 의원 등이 주도하는 재창당모임 ‘세번째권력’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이름은 선거연합정당이지만, 선거가 끝나면 각 당으로 철수하는 총선용 임시정당이다. 정의당 내 정파 간 중간값을 내기 위한 졸속 합의의 결과”라며 “정의당 재창당과 신당추진은 어제부로 완전히 실패했다”고 비판했다.

김종대·박원석 전 의원 등이 주축인 ‘대안신당 당원모임’도 “선거연합정당 추진은 찬반을 떠나 아무리 따져봐도 함량 미달의 단기적인 총선대응 방안일 뿐”이라며 “노선 전환없는 비대위 체제는 포장지만 바꾼 기만”이라고 했다.

당헌·당규에 따라 비대위 구성 전까지 당 대표 직무대행을 맡게 된 배진교 원내대표는 입장문을 내고 “논쟁은 치열하게 하되, 서로에 대한 존중과 신뢰마저 무너트리지는 말자”면서 “흔들림 없이 5만 당원이 끝까지 함께 하자”고 호소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2 / 5
2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