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외교 “합당한 직위라면 김정은과 회담” 브리핑

김성환 외교 “합당한 직위라면 김정은과 회담” 브리핑

입력 2012-01-06 00:00
수정 2012-01-06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5일 “북한이 국제사회와의 (비핵화) 약속을 지킨다면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을) 오는 3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에 얼마든지 초청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내외신 브리핑에서 “지난해 이명박 대통령이 북한의 지도자를 핵안보정상회의에 초청했을 때 핵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는 말씀을 한 적이 있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김정은 부위원장을 협상 상대로 보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북한과 회담을 하면서 거기에 합당한 직위를 가진 사람이라면 그와 회담을 하게 될 것”이라면서도 “김 부위원장이 최고사령관에 추대됐고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직책을 가지고 있는데, 북한 내부에서 그 두 직책이 군사부문을 제외한 다른 부문에 대해 얼마만큼 관여하고 있는지가 분명치 않다. 그래서 그것은 앞으로 조금 더 두고 봐야 되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김 장관은 브리핑에 앞서 이명박 대통령과 외교부 및 관계·산하기관 등 1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신년 업무보고를 통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한반도 정세의 유동성이 증가한 만큼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주변국 등과 긴밀하게 협력해 한반도 정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외교적 노력을 통해 북한의 태도 변화를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올해 외교정책의 3대 전략기조로 ▲주변국과의 네트워크 심화로 한반도 정세 유동성 국면에 적극 대처 ▲세계에 기여하고 국제이슈를 주도하는 글로벌 코리아 실현 ▲복합외교로 국민과 함께하는 선진외교를 제시했다. 이어 4대 핵심과제로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안보외교 ▲세계공영에 기여하는 외교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하는 외교 ▲국민에게 봉사하는 외교를 꼽았다.

외교부는 또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과 중동 정세의 불안정이 지속되는 등 범세계적 안보 도전의 증대와 아·태지역을 둘러싼 미·중·러의 주도권 경쟁 가열 등을 올해 외교안보 환경에서 대처해야 할 도전요인으로 꼽았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2-01-06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