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가 선정한 역대 전 세계 주요 반미(反美) 폭력사태에 1989년 서울에서 일어난 주한 미대사관저 점거 사건이 포함된 것으로 11일(현지시간) 알려졌다.
국무부는 최근 발간한 ‘2012 미국에 대한 정치폭력’ 보고서에서1987년 이후 미국을 대상으로 한 정치폭력 사건 일지를 발표했다. 국무부는 “모든 사건을 싣지는 않았으며 인명 및 재산 피해와 독특함, 복잡성 등을 근거로 주요 사건을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이 가운데 1980년대에는 이집트 카이로에서 발생한 미대사관 직원 암살 시도를 시작으로 모두 13건이 선정됐다. 특히 1989년 10월 13일 서울에서 발생한 미대사관저 점거 농성도 리스트에 올랐다. 이는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의 반미구국결사대가 농수산물 수입 개방 반대, 불평등한 한·미 관계 개선 등의 구호를 외치며 약 50분간 도널드 그레그 당시 대사 부부가 묵고 있던 대사관저를 점거한 사건이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과격한 학생들이 미대사가 묵고 있던 숙소를 공격, 약탈하고 일시적으로 점령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보고서는 지난해 전 세계에서 미국 시민과 미국 국익을 해친 주요 사건은 모두 98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79건)에 비해 24% 늘어난 것으로, 특히 최근 정치적 격변이 잇따르고 있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 등지의 반미 폭력사태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국무부는 최근 발간한 ‘2012 미국에 대한 정치폭력’ 보고서에서1987년 이후 미국을 대상으로 한 정치폭력 사건 일지를 발표했다. 국무부는 “모든 사건을 싣지는 않았으며 인명 및 재산 피해와 독특함, 복잡성 등을 근거로 주요 사건을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이 가운데 1980년대에는 이집트 카이로에서 발생한 미대사관 직원 암살 시도를 시작으로 모두 13건이 선정됐다. 특히 1989년 10월 13일 서울에서 발생한 미대사관저 점거 농성도 리스트에 올랐다. 이는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의 반미구국결사대가 농수산물 수입 개방 반대, 불평등한 한·미 관계 개선 등의 구호를 외치며 약 50분간 도널드 그레그 당시 대사 부부가 묵고 있던 대사관저를 점거한 사건이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과격한 학생들이 미대사가 묵고 있던 숙소를 공격, 약탈하고 일시적으로 점령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보고서는 지난해 전 세계에서 미국 시민과 미국 국익을 해친 주요 사건은 모두 98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79건)에 비해 24% 늘어난 것으로, 특히 최근 정치적 격변이 잇따르고 있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 등지의 반미 폭력사태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8-1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