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서울 종로구 서울글로벌센터에서 열린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통일공감대화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민화협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30일 서울 종로구 서울글로벌센터에서 열린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통일공감대화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민화협 제공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대표상임의장 홍사덕·이하 민화협)는 30일 서울 종로구 서울글로벌센터 9층 국제회의실에서 ‘북한인권과 인도주의,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를 주제로 제3차 통일공감대화를 개최했다. 민화협 관계자는 이날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내부의 다양한 입장을 살피고, 남북관계 발전과 올바른 통일준비를 위해 북한인권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해 나갈 것이지 논의하기 위해 이런 자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제3차 통일공감대화는 김천식 민화협 통일공감포럼 공동대표가 사회를 맡고, 전현준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장과 최대석 이화여대 정책과학대학원장, 평화3000 운영위원장인 박창일 신부, 윤여상 북한인권기록보존소장이 대담을 이어 갔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