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반기 국정운영 방식 ‘전환’
내일 고위 당·정·청 회의 재가동8일 유승민 포함 與의원 전원 오찬
野의원 전원 靑 초청도 ‘모락모락’

박근혜(얼굴) 대통령
박근혜(얼굴) 대통령이 입법부와의 소통을 강화하는 쪽으로 임기 후반기 국정 운영 방식을 전환했음을 5일 시사했다.
이날 청와대와 국회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다음달 중 20대 국회 의장단 및 상임위원장단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하는 방안을 국회와 협의 중이다. 이에 앞서 박 대통령은 오는 8일 새누리당 의원 129명 전원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하고, 7일에는 고위 당·정·청 회의도 재가동키로 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연쇄 ‘식사 정치’는 4·13 총선 이전 ‘국회 심판론’으로 입법부를 압박했던 것과 비교하면 전향적이다. 여소야대의 현실을 수용해 국회, 특히 야당을 배려하는 쪽으로 통치 스타일을 바꿨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박 대통령은 당초 새누리당 의원들과의 오찬에 앞서 7일 국회의장단 및 상임위원장단과 오찬을 하려 했으나 일정이 맞지 않아 다음달로 미룬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국회의장단 3명 중 2명, 상임위원장단 18명 중 10명이 야당 소속이라는 점에서 박 대통령이 야당을 먼저 배려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박 대통령으로서는 임기가 1년 7개월가량 남은 시점에 여소야대의 국회와 대립해서는 국정과제를 제대로 완수할 수 없다고 보고 협조를 구하는 쪽으로 전환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여당 의원 전원과의 오찬도 예사롭지 않다. 새누리당 의원 중에는 지난 총선 때 친박(친박근혜)계와 극한 대립을 했던 유승민 의원과 김무성 전 대표 등 비박계가 다수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으로서는 당·청이 단합해야 여소야대 국회에서 국정과제를 관철할 확률이 높아지고, 정권 재창출도 꾀할 수 있다는 현실적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의 스타일 전환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식사 정치’를 연상시킨다. 야당인 공화당과 ‘재정 절벽’ 협상에서 극한 대립을 했던 오바마 대통령은 2013년 3월 공화당 소속 폴 라이언 하원 예산위원장 등을 초청해 식사를 대접하며 소통의 물꼬를 텄다. 이어 그해 말에는 공화당 상·하원 의원 전원을 백악관에 초청했다. 따라서 박 대통령 ‘소통 정치’의 하이라이트는 우리 정치 문화에서는 전례가 없는 ‘야당 의원 전원 청와대 초청’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가 정치권 일각에서 나온다.
김상연 기자 carlos@seoul.co.kr
2016-07-0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