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위원회 1206명 실태 조사
수도권 원룸에 사는 대학생은 평균 42만원의 월세를 부담하며 관리비도 떠안고 있지만 자신의 권리를 당당하게 주장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원룸 구할 땐 6개 사항 꼭 확인하세요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 주거실태조사팀이 28일 서울 광화문 KT빌딩 드림엔터에서 대학생 원룸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기숙사 확충, 세입자 권리상담 창구 마련 등을 주장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이들은 보증금으로 평균 1418만원을 냈으며, 월세로 42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응한 대학생의 77.6%는 관리비를 부담하고 있었고, 이들이 낸 관리비는 월평균 5만 7710원으로 나타났다. 조사팀의 한현철(25)씨는 “대학생에게 관리비는 월세나 다름없다”면서 “집주인들이 월세를 낮추는 대신 세입자에게 사용 내역이 불투명한 관리비를 부담하게 하는 꼼수를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 위원장은 “대학생이 부담하는 원룸의 평균 관리비는 평당으로 계산하면 타워팰리스보다 비싸다”고 말했다.
대학생 원룸 세입자 가운데 53.4%는 전입신고를 하지 않았고, 사는 집에 저당권이 설정돼 있는지 확인하지 않은 학생도 42%나 됐다. 위원회는 “대학생들이 세입자 권리에 대한 인식이 낮은 편”이라면서 “살던 집이 경매로 넘어가면 전·월세 보증금을 보호받지 못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학생 44.6%는 집주인에게 수리 요청을 거절당하거나 계약 전에 알고 있던 정보와 실제 주거 환경이 다른 경우를 경험하는 등 부당한 대우를 당했다고 답했다. 그러나 이들의 34.5%는 참거나 대응하지 않고 살고 있다고 대답했다. 학생들이 집주인에게 항의하지 않고 넘어간 이유는 ‘싸우기 싫어서’(33.3%) ‘귀찮아서’(26.1%) ‘부당한 일인 줄 몰라서’(23.2%) 등의 순이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5-01-2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