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2%… 20년 만에 4배 급증
매장을 미덕으로 여겼던 장묘문화는 이제 옛말이 됐다. 불과 20년 전만 해도 10명 중 8명이 고인을 선산이나 공원묘지에 매장했지만, 지금은 5명 중 4명이 화장을 선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보건복지부가 9일 발표한 화장률 통계를 보면 지난해 전국 화장률은 79.2%에 이르렀다. 20년 전인 1994년 당시 화장률(20.5%)의 4배 수준이다. 1년 전인 2013년 화장률(76.9%)과 비교해도 2.3% 포인트 높다.
화장 선호도는 여성(77.4%) 보다 남성(80.7%)이 3.3% 포인트 높았다. 60대 미만 화장률은 평균 93.9%였으며, 연령별로는 20대 사망자 화장률이 99.3%로 가장 높았다. 60대 이상 사망자의 화장률은 75.4%로 다소 낮은 편이었으나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화장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기초지방자치단체는 경남 통영시(95.2%)였다. 이어 경기 안산시(94.5%), 경남 남해군(94.3%), 경남 사천시(93.5%), 인천 동구(93.1%), 부산 수영구(93.0%), 경남 김해시(92.6%) 순으로 화장률이 높았다. 반면 전남 곡성군(34.0%), 전북 장수군(36.4%) 등 화장시설이 없는 지역은 화장률도 낮았다.
광역자치단체 중에서는 부산의 화장률이 90.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인천 89.4%, 울산 86.6%, 경남 86.0% 등의 순이었다. 충남(62.6%), 제주(63.5%), 전남(65.2%), 충북(65.7%) 등은 화장률이 전체 평균보다 낮은 편이었다.
수도권 지역 화장률은 85.8%였으나 이외 지역은 74.8%로 수도권 화장률이 비수도권보다 11.0% 포인트 높았다. 서울, 부산 등 8개 특별·광역시의 화장률은 평균 85.2%로 집계됐다.
화장률은 지난 2005년 매장률을 넘어선 이후 연평균 3% 포인트씩 증가하고 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11-1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