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상 말뚝테러’ 日 극우인사 재판 3년째 제자리

‘소녀상 말뚝테러’ 日 극우인사 재판 3년째 제자리

입력 2016-01-11 07:16
수정 2016-01-11 09: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日 정부, 한국 법원 구속영장 집행 안해…15일 7차 공판

위안부 소녀상에 ‘다케시마(독도)는 일본 영토’라고 적은 말뚝을 묶어놔 2013년 2월 불구속 기소된 일본 극우인사 스즈키 노부유키(鈴木信行·51)씨의 재판이 3년째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일본에 있는 스즈키씨가 한국 사법부의 소환에 불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법원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1단독 장일혁 부장판사는 이달 15일 스즈키씨의 7번째 공판을 연다.

이번 공판은 2014년 6월 30일 6차 공판 이후 1년 반 만에 열리는 재판이다.

법원 관계자는 “일본 내 한국 영사관을 통해 재판 소환장이 당사자에게 송달된 것으로 확인돼 기일을 지정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6차례 공판은 스즈키씨가 출석하지 않아 거듭 연기됐다. 법원은 그가 장기간 불출석하자 6차 공판에서 유효기간 1년의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법원이 외국에 있는 형사 사건 피고인에게 구속영장을 발부하면 법무부가 해당 국가와 사법공조를 통해 신병을 인계받는 절차를 밟는다.

그러나 스즈키씨 구속영장은 일본 정부의 비협조로 그동안 집행되지 않고 유효기간이 만료됐다.

법원은 이번에 다시 여는 공판에도 스즈키씨가 불출석하면 다시 구속영장을 발부하는 방안도 고려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비협조로 일관하면 그가 한국 땅을 밟지 않는 이상 아무리 망언과 만행을 되풀이해도 재판을 통해 형사 처벌을 할 길이 없다.

그는 2012년 6월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위안부 소녀상에 ‘다케시마는 일본 영토’라고 적은 말뚝을 묶어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뒤에도 만행을 멈추지 않았다.

그는 지난해 5월 19일 경기도 광주에 있는 ‘나눔의 집’과 서울에 있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에 위안부 피해자를 모욕하는 소녀상 모형과 ‘다케시마는 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일본어가 적힌 흰색 말뚝 모형을 국제 우편으로 보냈다.

나눔의 집에 사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10명은 그를 명예훼손 및 모욕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했다.

그는 또 2012년 9월 일본에 있는 매헌 윤봉길 의사 순국비에도 ‘다케시마는 일본의 고유 영토다’라고 적힌 나무 말뚝을 박고 윤 의사를 ‘테러리스트’라고 모욕한 혐의도 있다.

그는 2013년 일본 참의원 선거에 출마해 선거 벽보에 위안부 소녀상을 ‘매춘부상’이라고 표현하고 ‘한일국교 단절’ 등을 주장했지만 낙선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