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전문과학기술업 여성 50% 성희롱 피해

[단독] 전문과학기술업 여성 50% 성희롱 피해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6-08-02 22:14
수정 2016-08-03 01: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5개 산업 ‘직장 괴롭힘 보고서’

남성은 금융·보험업 34% 최다
불이익 우려 문제제기 38% 불과


연구원이 많이 종사하는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여성 근로자 절반이 성희롱 피해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유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은 지난 4~5월 시행한 ‘직장인 근로 환경 조사’를 바탕으로 ‘기업 생산력을 떨어뜨리는 직장 괴롭힘’ 보고서를 작성해 2일 발표했다. 15개 산업에서 각각 근로자 200명씩 총 3000명을 조사한 올해 최초의 대규모 직장 내 괴롭힘 실태 보고서다.

최소 6개월간 1건 이상의 괴롭힘을 주 1회 이상 경험한 비율을 보면 ‘숙박·음식점업’이 27.5%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의료인과 사회복지사가 종사하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26.0%),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업(25.0%) 등 순이었다. 교육서비스업은 15.5%로 가장 낮았다.

성희롱 경험률은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이 34.5%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여성만 놓고 보면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의 경험 비율이 50.0%로 훨씬 더 높았다. 남성의 경우 ‘금융·보험업’이 34.4%로 높은 편이었다. 폭력 및 위협 피해율에선 ‘운수업’이 12.5%로 최고로 조사됐다.

괴롭힘과 성희롱 가해자를 업종별로 나누면 15.0~34.0%가 간부·임원, 18.0~40.0%가 직속 상사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건설업에선 ‘원청직원’ 가해자 비율이 11.0%에 달했다. 부동산·임대업과 숙박·음식점업에선 ‘고객’ 가해자 비율이 무려 34.0%와 30.0%였다.

성희롱 가해자를 보면 남성이 67.5~95.7%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인사상 불이익 우려와 향후 직장 생활에 대한 부담 때문에 피해자가 괴롭힘과 성희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비율은 37.9%에 그쳤다. 피해자가 직접 가해자에게 항의하는 비율은 17.9%뿐이었다. 본인이 스스로를 괴롭힘 피해자라고 여기는 비율도 전 산업을 통틀어 최대 7.0%에 머물렀다.

서 위원은 “근로자 인권이 발달한 북유럽 등에서는 피해 사례 접수 때 사업주와 가해자가 ‘근거 없음’을 증명해야 하고 피해자의 보호를 강조하지만 우리나라에선 안전하게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통로를 찾을 수 없다”며 “문제를 호소할 수 있는 소통 창구와 괴롭힘을 예방하는 제도·법령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8-0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