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서 되돌아온 권선택…대전 시정 “차질 없다”

벼랑서 되돌아온 권선택…대전 시정 “차질 없다”

입력 2016-08-26 14:57
수정 2016-08-26 14: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로 당선무효 위기에 몰렸던 권선택 대전시장이 대법원 파기환송 결정으로 한숨을 돌렸다.

아직 혐의를 완전히 벗지 못한 모양새지만, 검찰의 핵심 공소사실 중 ‘유사기관 설치 및 사전선거운동’ 여부에 대해 무죄 취지의 판단을 받으면서 시정 현안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권선택 시장의 직 유지 여부와 가장 민감하게 연결된 사안은 도시철도 2호선 ‘노면전차(트램)’ 건설 사업이다.

트램은 민선 6기 대전시 역점 과제다. 권 시장 스스로 강한 의지를 갖고 진행하는 핵심 정책이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은 애초 고가 방식(자기부상열차)으로 진행되다가 2014년 권선택 시장이 취임하면서 우여곡절 끝에 트램으로 재결정됐다. 트램은 후보 시절 권 시장의 주요 공약 중 하나였다.

‘국내 첫 트램 도시’를 표방하며 분위기 조성에 나선 시는 올해 대중교통혁신추진단을 출범하고 그 안에 트램 관련 기구를 뒀다.

찾아가는 현장 설명회, 각종 매체를 통한 홍보, 충북 오송 시험선 체험, 외국 시찰단 파견 등 주요 시책의 중심에는 트램이 자리했다.

지난달에는 서대전역∼정부청사∼유성온천∼진잠∼서대전역을 도는 순환선 형태의 노선을 확정하면서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트램은 앞으로 기본계획 변경 승인과 타당성 재조사 등을 넘어야 한다. 도시철도법·도로교통법·철도안전법 등 ‘트램 3법’으로 불리는 관련 법령 정비 작업도 필요하다.

1·2구간 분리 착공과 관련한 주민 반발 무마처럼 시의 적극적인 의지 없이는 걸음을 떼기 힘든 사안도 쌓여 있다.

권 시장이 “직을 걸겠다”고 할 정도로 무게를 두는 이 사업은 법원 결정에 따라 크게 요동칠 뻔했으나, 당분간은 ‘순항 모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대전의료원 설립을 위한 기반 마련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동구 선량지구에 임대형 민자투자사업(BTL) 방식으로 추진 중인 대전의료원은 복지부 승인을 앞두고 있다.

승인이 떨어지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등 중앙정부와 긴밀하게 협의해야 할 일정이 이어지기 때문에 권 시장의 행보가 사업 추진에 힘을 실을 수 있다.

서대전역을 지나는 KTX의 호남선 증편, 엑스포재창조사업, 옛 충남도청·도 경찰청 부지 활용, 원도심 활성화 등 크고 작은 ‘현재진행형’ 시책에도 영향은 없을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26일 “변수는 여전히 남았으나, 올 하반기 남은 일정에 미칠 충격파가 줄어든 게 사실”이라며 “뒤숭숭한 분위기를 다잡고 안정적으로 조직이 운영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