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본 ‘갑질금지법’ 시행 2년 5개월 직장 괴롭힘 줄었다지만 처벌 여전히 약해 “특수고용 등 갑질금지법 사각지대 많아”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연합뉴스.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이 시행된 지 2년 5개월이 지났지만 직장인들이 느끼는 갑질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년 동안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지난해 6월과 올해 9월을 비교했을 때 ‘갑질을 경험했다’는 응답 비율은 45.4%에서 28.9%로 줄었으나 ‘갑질이 심각하다’는 응답 비율은 33.0%에서 32.5%로 비슷했다.
이 단체는 정의당 강은미 의원실이 입수한 고용노동부 자료를 인용해 2년 5개월간 고용부가 접수한 직장 내 괴롭힘 신고가 1만 7342건이라고 집계했다. 유형별로는 폭언이 35.7%로 가장 많았고, 부당 인사조치(15.5%), 험담·따돌림(11.5%) 등이 뒤를 이었다.
갑질금지법이 시행된 2019년 7월 16일부터 이 법이 개정되기 전인 지난 10월 13일까지 접수된 사건 1만 2997건 가운데 개선 지도가 이뤄진 사건은 23.9%였고, 검찰에 송치된 사건은 1.2%에 불과했다. 갑질금지법은 직장 내 괴롭힘 사건 발생 시 사용자가 조치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처벌조항을 담아 한 차례 개정됐다.
직장갑질119는 “신고된 사건의 70% 이상이 취하되거나 법 적용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 등으로 단순 행정종결 처리되고 있다”며 “5인 미만 사업장, 간접고용, 특수고용 등 보호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많고 법 적용을 받더라도 고용부의 소극적인 행정으로 제대로 처리되지 못하는 현실을 보여주는 수치”라고 지적했다.
박상연 기자 spark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