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첫해 금융·부동산 웃고 숙박·음식점 울었다

코로나 첫해 금융·부동산 웃고 숙박·음식점 울었다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2-06-28 22:06
수정 2022-06-29 01: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청 2020년 경제 총조사

유동성 풀려 자산시장 호조
부동산업 영업이익률 최고
키오스크 음식·주점업 최다

코로나19 팬데믹 첫해인 2020년 금융·보험업과 부동산업은 큰 폭의 영업이익률(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개선에 힘입어 호황을 누렸다.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유동성이 풀리면서 자산시장이 호조를 보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숙박·음식점업은 영업이익률이 절반 넘게 쪼그라들어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확인됐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0년 기준 경제총조사 결과(확정)’에 따르면 금융·보험업 영업이익률은 2015년 4.9%에서 2020년 8.5%로 3.6% 포인트나 뛰었다.

2020년 종사자당 매출액은 14억 5500만원으로 5년 전보다 43.7% 증가했다. 금융·보험업 전체 매출액이 2015년 778조 2000억원에서 2020년 1060조원으로 36.2% 늘어난 결과다.

부동산업도 같은 기간 영업이익률이 11.3%에서 14.8%로 3.5% 포인트 상승했다. 부동산업의 영업이익률은 통계청이 분류한 19개 업종 중 가장 높은 것이다. 2020년 종사자당 매출액은 2억 9600만원으로 5년 전보다 34.1%, 전체 매출액은 1200조 7000억원으로 34.7% 각각 증가했다.

반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숙박·음식점업은 영업이익률이 2015년 13.1%에서 2020년 5.2%로 7.9% 포인트나 하락했다.

통계청은 이번 조사에서 무인 결제기기(키오스크) 도입 현황을 조사했는데, 전국 사업장 3만곳이 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음식·주점업이 1만 7000곳으로 가장 많았고, 소매업(1만곳)과 숙박업(2000곳) 등이 뒤를 이었다.



전국 음식·주점업에 마련된 객석은 총 2757만석으로 집계됐다. 업체당 평균으로 보면 38석이다.
2022-06-2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2 / 5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