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형식에서 가치 중심의 합리적인 결혼 문화 확산에 나선다.
전북도는 26일 공공시설을 활용한 작은 결혼식을 지원하는 ‘전북, 마이웨딩’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결혼 전문 업체 선정, 사업 홍보, 참여자 모집 등을 거쳐 내년부터 시범 운영될 예정이다.
전북특별자치도청사 전경
이는 예비부부가 도내 도립미술관, 전라감영 등 공공시설을 활용해 경제적인 결혼식을 치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대상은 도내 6개월 이상 거주한 예비부부 중 소규모 결혼식을 희망하는 10쌍이다.
도는 예식 공간을 무료로 제공하고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와 결혼 비용 대출 이자도 지원한다. 웨딩 전문업체와 협업으로 ‘예식 통합 패키지’를 마련, 예식 준비의 번거로움도 덜어주기로 했다.
참여를 희망하는 예비부부는 전북도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신청자가 많으면 소득 기준 등을 우선순위로 둘 방침이다.
김관영 도지사는 “경제적 이유로 결혼을 미뤄지거나 포기해야 하는 현실은 사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라며 “작지만, 따듯한 결혼식으로 저출생 문제를 극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북도는 26일 공공시설을 활용한 작은 결혼식을 지원하는 ‘전북, 마이웨딩’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결혼 전문 업체 선정, 사업 홍보, 참여자 모집 등을 거쳐 내년부터 시범 운영될 예정이다.

전북특별자치도청사 전경
이는 예비부부가 도내 도립미술관, 전라감영 등 공공시설을 활용해 경제적인 결혼식을 치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대상은 도내 6개월 이상 거주한 예비부부 중 소규모 결혼식을 희망하는 10쌍이다.
도는 예식 공간을 무료로 제공하고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와 결혼 비용 대출 이자도 지원한다. 웨딩 전문업체와 협업으로 ‘예식 통합 패키지’를 마련, 예식 준비의 번거로움도 덜어주기로 했다.
참여를 희망하는 예비부부는 전북도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신청자가 많으면 소득 기준 등을 우선순위로 둘 방침이다.
김관영 도지사는 “경제적 이유로 결혼을 미뤄지거나 포기해야 하는 현실은 사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라며 “작지만, 따듯한 결혼식으로 저출생 문제를 극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