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창원 해역 해양오염 유출량, 전년보다 89% 줄어

지난해 창원 해역 해양오염 유출량, 전년보다 89% 줄어

이창언 기자
이창언 기자
입력 2025-01-24 15:54
수정 2025-01-24 15: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해양오염사고 8건 발생·오염물질 827.9ℓ 유출
전년보다 사고 건수 38%, 유출량 89% 감소해

이미지 확대
창원해경이 오일펜스를 이용해 방제작업을 하고 있다. 2025.1.24. 창원해양경찰서 제공
창원해경이 오일펜스를 이용해 방제작업을 하고 있다. 2025.1.24. 창원해양경찰서 제공


지난해 경남 창원 해역 해양오염 유출량이 전년보다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원해양경찰서는 24일 ‘2024년 해양오염사고 통계분석 결과’를 내놓으며 지난해 창원 해역에서는 해양오염사고 8건이 발생했고 오염물질 827.9ℓ(리터)가 유출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보다 사고 건수는 38%, 유출량은 89% 준 수치다. 2023년 창원 해역 해양사고는 13건, 유출량은 7683.8ℓ였다.

해경은 해양오염 감소 이유로 고위험 선박 중점 선제적 예방관리와 파공부·에어벤트 봉쇄, 유류이적 등 신속한 배출 방지 조치를 꼽았다.

해경은 지난해 해양오염사고 유형도 분석했다. 해역별 발생 건수는 부산신항 3건, 거제북부 2건, 마산항·진해항·진해만 각 1건이었다. 사고 원인으로는 밸브 조작 등 부주의에 의한 사고 3건, 기기 파손 3건, 침수 등 해난에 의한 사고 2건이었다.



창원해양경찰서 관계자는 “관계기관과 협력을 강화해 복합해양사고 현장 대응력을 더 키우겠다”며 “취약요소·위험해역별 예방 활동으로 오염 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