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까지입술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까지입술

입력 2012-08-20 00:00
수정 2012-08-2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름도 기억나지 않지만 국민학교(초등학교) 3학년 때 같은 반이었고, 같은 반이었지만 한번도 같이 어울리지 못한 것도 맞다. 여학생보다 체구가 작아 항상 맨 앞줄에 앉곤 했는데, 어쩌다 보면 입술이 질린 듯 새파랬다. 얼굴도 파리해 농촌에서 선머슴처럼 자란 다른 아이들과는 달랐다. 그러나 그를 특정할 가장 또렷한 기억은 아침 조회 때마다 혼자 화단 돌턱에 덩그마니 앉아 있거나 체육시간이면 늘 혼자 은단풍나무 밑에서 다른 아이들 노는 양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 아이가 ‘열외’인 것을 다른 아이들은 무슨 특권처럼 부러워하곤 했는데, 그럴 때면 선생님은 “몸이 아파서 그런다.”고만 할 뿐이었다.

바람이 제법 부드러웠으니 아마 4월쯤이었을 것이다. 토요일 학교를 마친 애들이 우르르 교문을 나서다 몇 놈이 한 덩어리로 넘어졌는데, 맨 밑에 그 아이가 깔렸다. 다들 툭툭 털고 일어났지만 어찌된 일인지 그는 맨땅에 얼굴을 댄 채 눈만 깜박이고 있었다. 가만 보니 이마에 식은땀이 배어 있고, 숨길도 가빠 보였다. 어디가 안 좋은지는 모르지만 그가 아프다는 건 다들 아는 일이어서 일으켜주려다 깜짝 놀랐다. 팔로 껴안은 몸통이 너무 왜소하기도 했지만 기력이 없어 마치 시든 파처럼 축 늘어지는 게 아닌가. 얼른 교무실로 쫓아가 선생님께 알렸고, 놀란 선생님은 슬리퍼 차림으로 그를 안아다 교무실 한 편에 눕혔다. 그 후 그 애를 다시 보지 못했다. 병을 고치려 가족이 대처로 이사 갔고, 그 애가 심장병을 가졌다고 들은 건 그 후의 일이었다.

언제나 입술이 새파래 아이들이 “입술이 까지(가지) 같다.”고 수군댔고 더러는 ‘까지입술’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것이 선천성 심장질환의 증상인 청색증이었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은 얼마 전이다. 요즘 같으면 그런 고통을 겪지 않아도 됐을 그 아이는 다 자라도록 홀로 고통을 감당하고 있었으니, ‘병은 안 걸리는 게 좋고, 걸리려면 나중에 걸려야 한다.’는 말이 새삼 와닿는다. 항상 시진하게 풀죽어 가던 그 아이는 어디서 살까.

jeshim@seoul.co.kr



2012-08-2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