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국내 치명률 1% 근접… 고령일수록 높아

코로나 국내 치명률 1% 근접… 고령일수록 높아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0-03-16 23:16
수정 2020-03-17 05: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망자 중 1명 빼고 모두 생전에 지병 앓아

중증이상 환자 100명 육박… 1% 넘을 수도
이미지 확대
긴급 이송
긴급 이송 대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다수 나온 19일 오후 대구시 중구 경북대학교 병원에 긴급 이송된 코로나19 의심 환자가 도착하고 있다. 2020.2.19 연합뉴스TV
코로나19 사망자가 잇따르면서 치명률(확진환자 대비 사망자 비율)이 1%를 바라보고 있다. 중증 이상으로 분류되는 환자가 100명 가까이 있다는 걸 감안하면 치명률은 앞으로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16일 0시 기준 75명으로 치명률은 0.91%라고 밝혔다. 여기에 16일 대구시 등에서 발표한 추가 사망자 6명을 더하면 치명률은 0.98%까지 올라간다.

중대본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환자 중 16일 오전 0시 기준 중증 단계 이상으로 분류된 사람은 총 89명(중증 30명, 위중 59명)이었다. 중증 이상으로 분류되는 환자는 이달 3일만 해도 41명에 그쳤지만 6일 57명, 9일 65명 등으로 꾸준히 늘었고 지난 12일에는 93명에 이르기도 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사망자는 1명을 빼고는 모두 생전에 기저질환(지병)을 앓았고 고령일수록 치명률이 급증하는 경향이 있었다. 사망자의 평균 연령은 74.2세였고, 65세 이상이 모두 61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81.3%를 차지했다. 연령별 치명률은 80세 이상 9.26%, 70대 5.27%로 고령 환자의 치명률이 매우 높았고, 30대는 0.12%, 40대 0.09%, 50대 0.38% 등으로 연령에 따른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구 53명, 경북 17명으로 대구·경북에 93.3%가 집중돼 있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정례 브리핑에서 “치명률은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70∼80대는 건강 보호에 각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릉 오봉저수지 15% 붕괴 임박, 위기 치닫는 물 부족 사태

2025년 여름, 대한민국은 폭우로 물에 잠긴 도시들과 바싹 메마른 땅으로 갈라졌다. 수도권과 충청 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는 동안, 강원도 강릉 지역은 사상 최악의 가뭄에 직면한 것이다. 강릉의 최대 수원(水源)인 오봉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냈고, 위기 상황으로 여겨지는 저수율 15%선 붕괴를 코앞에 둔 상황이다. 이대로 비가 오지 않으면 20일 뒤 강릉시민들은 생활용수를 거의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가뭄이 장기화되면서 한 방울의 물이라도 아끼기 위한 노력이 도시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다. 평상시 수돗물이 공급되는 소화전 사용을 줄이기 위해 소방서 앞마당에는 지름 6미터의 임시저수조가 설치됐다. 일선 병원들도 필수 의료 시설을 제외한 나머지 시설에 대한 절수 조치를 실시했다. 강릉아산병원 시설팀 관계자는 “환자의 치료 구역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주방 설비의 급수량을 40% 줄이고 고가수조의 저수량을 7~10% 낮췄다”고 밝혔다. 새 학기가 시작된 강릉 지역 일선 학교들도 물 절약에 동참하고 있다. 정수기 사용을 막고 생수를 공급하는 한편, 급식 식판은 원주에 있는 세척 업체에 보내는 방식으로 물 사용량을 줄이기도 했다. 사실상 재난 상황으로 치닫
thumbnail - 강릉 오봉저수지 15% 붕괴 임박, 위기 치닫는 물 부족 사태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0-03-1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