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형 당뇨병 환자 87만여명 12년간 추적 분석
우울증·양극성 장애 등도 자살 위험 2배 이상

서울성모병원
만성질환인 2형 당뇨병 환자가 정신질환을 함께 앓을 경우 자살 위험이 최대 3.2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승환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백한상 의정부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팀은 한경도 숭실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이런 연구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토대로 2009년 건강검진을 받은 2형 당뇨병 성인 환자 87만 5671명을 12년간 추적 분석한 결과다.
2형 당뇨병 환자가 조현병 등 정신질환도 있을 경우 자살 위험이 3.24배 높았다. 조현병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과잉에 따른 뇌 질환으로, 망상과 환각, 비정상적이고 비상식적인 말과 행동 등의 사회 인지기능 저하가 대표적인 증상이다.
조현병 외에도 양극성 장애(2.47배), 우울증(2.08배), 불안장애(1.63배) 등 정신질환이 2형 당뇨병과 동반될 시 자살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신질환이 있는 당뇨병 환자의 경우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all-cause mortality)이 유의하게 높아, 정신건강이 당뇨병 환자의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됐다.
백한상 의정부성모병원 교수는 “혈당 조절이 잘 안되면 삶의 질이 낮아지고 정신질환이 유발되기 쉬우며, 정신질환 조절이 안 되면 약물 순응도가 떨어져 혈당 조절이 악화되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면서 “당뇨병 치료에 있어 정신건강에 대한 선제적 개입과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어펙티브 디스오더스’(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에 게재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