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뼈에 날카로운 것으로 잘린 흔적
이 뼈와 뼛조각 99개를 정밀 분석한 결과 날카로운 것으로 잘린 듯한 흔적이 여럿 있었다. 특히 피부를 벗겨낸 흔적과 머리에서 골수를 꺼낸 자국까지 남아 있었다. 연구진은 “뼈에 남은 이런 상처들은 당시 먹을거리로 이용됐던 말이나 순록 같은 동물의 뼈에서 발견된 것과 일치하는 만큼 네안데르탈인들 사이에서 식인 풍습이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네안데르탈인이 훗날 현생인류의 조상인 호모사피엔스에게 학살됐을 가능성도 일부 고고학계에서는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증거를 다른 인류종과 전쟁이나 학살의 증거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기존의 ‘전쟁·학살론’ 뒤집는 증거
일렌 루지에 캘리포니아주립대 인류학과 교수는 “종교의식의 일부로 사용됐을 것이라고도 가정할 수 있겠지만, 골수를 추출하고 살을 발라낸 것과 같은 흔적은 식량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네안데르탈인의 식인 풍습은 자연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6일자에 담겼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6-07-0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