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종목 석권 배드민턴의 숨은 힘
모든 경기가 끝난 게 오후 11시가 다 돼서였다.광주U대회 배드민턴 마지막 경기일인 지난 12일 전남 화순의 하니움문화스포츠센터. 6개의 금메달 중 5개의 주인이 가려진 이날 마지막 경기인 남자복식 결승이 시작된 게 오후 10시 20분쯤이었다. 경기 막판 실랑이가 벌어졌다. 중국 선수의 스매싱이 한국 진영에 떨어졌는지, 선 밖에 떨어졌는지를 두고 선심과 중국 선수들이 언쟁하고 중국의 코칭스태프는 본부석을 찾아 강력 항의했다. 2세트 중반 중국의 추격이 시작되자 보도석 뒤쪽에서 “짜요! 짜요!”를 외치던 중국 팬들은 전광판에 리플레이 화면이 뜨자 야유를 퍼부었다.
그런데 놀라운 건 홈 관중이었다. 오전 준결승부터 2080명이 들어가는 관중석의 빈 자리를 찾아볼 수 없었는데 이들이 거의 그대로 자리에서 조용히 상황을 지켜봤다. 5분 정도 항의하던 중국 선수들이 수굿이 패배를 인정하고 관중을 향해 손을 흔들자 그제야 자리에서 일어나 박수를 보내고 경기장을 빠져나갔다.
앞서 이날 두 번째 결승인 여자단식 경기를 마친 것이 오후 8시가 조금 못돼서였다. 휴일 밤 귀가를 서두를 법한데도 이때 자리에서 일어난 관중은 5% 정도도 되지 않았다. 간간이 무료해진 아이들의 떠드는 소리가 들려오긴 했지만 관중들은 서브하는 선수의 호흡이 들릴 정도로 소음을 내지 않으려 안간힘을 썼다.
세 번째 남자단식 결승이 끝난 게 밤 10시가 조금 넘어서였다. 빈자리가 조금 늘었지만 대다수는 요동도 하지 않았다. 나형수(60·광주배드민턴협회 부회장) 배드민턴 경기담당은 “이 지역 출신인 이용대 선수가 일찍 탈락해 아쉽긴 하지만 광주에서도 동호인 회원들이 많이 찾은 것 같다”고 말했다. 한국이 6개의 금메달을 모두 싹쓸이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동호인들의 열정과 진지한 관전 문화가 자리하고 있음을 절감했다.
화순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5-07-1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