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만에 한국 정상의 꿈…라켓 빼든 권순우·이덕희

5년 만에 한국 정상의 꿈…라켓 빼든 권순우·이덕희

최병규 기자
입력 2019-04-29 17:48
수정 2019-04-30 0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ATP 서울오픈 챌린저 열전 돌입

이미지 확대
이덕희(왼쪽)가 29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테니스코트에서 열린 남자프로테니스(ATP) 비트로 서울오픈 챌린저대회 공식 기자회견에 참석해 “서울, 부산, 광주로 이어지는 3개 대회에서 두 번 정도 우승하고 싶다”며 당찬 각오를 밝히고 있다. 옆에 앉은 선수는 권순우.  연합뉴스
이덕희(왼쪽)가 29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테니스코트에서 열린 남자프로테니스(ATP) 비트로 서울오픈 챌린저대회 공식 기자회견에 참석해 “서울, 부산, 광주로 이어지는 3개 대회에서 두 번 정도 우승하고 싶다”며 당찬 각오를 밝히고 있다. 옆에 앉은 선수는 권순우.
연합뉴스
국내에서 열리는 가장 상위 등급의 남자프로테니스(ATP) 대회인 서울오픈 챌린저가 29일 서울 올림픽코트에서 막을 올리고 일주일 열전에 돌입했다.

챌린저대회는 투어 대회보다 한 단계 낮은 등급으로 주로 세계랭킹 100~300위대 사이의 선수들이 출전한다. 총액 10만 5000달러의 상금보다는 성적에 따른 랭킹포인트가 선수들에겐 더 큰 관심이다. 우승 상금은 1만 4000달러에 불과하지만 ATP 투어 대회 8강에 해당하는 랭킹포인트 100점을 손에 쥘 수 있다.

전 세계랭킹 8위 마르코스 바그다티스(34·키프로스)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현재 138위까지 떨어진 랭킹을 끌어올리고 자신감을 되찾기 위해 이 대회에 출전했다”고 말했다.

지난 2012년 아래 등급인 남녀 퓨처스대회로 시작해 2014년부터 상금을 올려 챌린저대회로 격상된 이 대회에서 첫해 우승자는 임용규(당시 한솔)였다. 이후 한국선수가 우승한 적은 없다. 2015년 당시 19세 고등학생이었던 정현(23)이 결승까지 올랐지만 일본의 소에다 고에게 1-2로 역전패했다. 서울·부산·광주로 이어지는 국내 3주 릴레이 챌린저의 시작인 이번 서울오픈에는 권순우(152위·당진시청), 이덕희(236위·현대자동차 후원), 정윤성(267위·의정부시청) 등 정현의 뒤를 잇는 국내 상위 랭커들이 총출동해 5년 만의 한국선수 우승에 도전한다.

지난 3월 초 일본 요코하마대회에서 생애 첫 챌린저 우승을 달성한 권순우는 이번 대회 11번 시드를 받고 1회전을 부전승으로 통과, 두 자릿수 랭킹 진입에 군불을 지폈다. 권순우는 “한국에서 열리는 대회인 만큼 우승이 목표”라고 출사표를 던졌다. 청각장애 3급이란 어려움을 딛고 지난해 자카르타·팔렘방아시안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이덕희는 “지난해 1회전에서 탈락했는데 올해는 좋은 성적을 내고 싶다”고 각오를 다졌다. 권순우와 이덕희의 이 대회 최고 성적은 나란히 출전한 지난 2017년 대회 준우승과 4위였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9-04-3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