덜 추운 겨울에 전력수급 ‘안정적’… 예비력 20GW 내외

덜 추운 겨울에 전력수급 ‘안정적’… 예비력 20GW 내외

옥성구 기자
옥성구 기자
입력 2025-01-16 10:42
수정 2025-01-16 1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폭설·한파에도 최대 전력 수요 양호
원전 23기로 최대 가동…공급 충분

이미지 확대
한파가 풀리며 서울 최고기온이 영상까지 오른 12일 서울 명동거리가 시민과 관광객으로 붐비고 있다. 2025.1.12. 뉴스1
한파가 풀리며 서울 최고기온이 영상까지 오른 12일 서울 명동거리가 시민과 관광객으로 붐비고 있다. 2025.1.12. 뉴스1


올겨울 기온이 평년보다 비교적 따뜻하면서 난방 증가에 따른 겨울 전력 수요 증가에도 전력 수급이 안정적으로 관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폭설이 내리고 한파가 매서웠던 지난주 최대 전력 수요는 90.7기가와트(GW)에 머물렀다. 2021년 겨울철 최대 수요와 유사한 수준이다. 2022년 겨울(94.5GW), 2023년 겨울(91.6GW) 최대 전력 수요보다는 낮다.

산업부는 이번 겨울이 예년 겨울보다 상대적으로 덜 추워 난방용 전력 소비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맑은 날이 많아 자가용 태양광 발전 효율이 높아져 최대 전력 수요가 비교적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월평균 기온은 1.8도로 평년(1.1도)보다 0.7도 높았다.

전력 공급도 충분히 유지되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 24기 가운데 계획예방정비 중인 새울 1호기를 제외한 23기의 원전이 최대 가동되고 있어 공급 능력도 충분하다. 이에 한겨울임에도 예비력은 20GW 내외로 직전 3개년 겨울(11.1~13.7GW) 대비 높은 수준이다.

국제 에너지 가격도 안정화되면서 발전회사가 생산한 전력을 한국전력에 판매하는 가격인 계통한계가격(SMP)은 지난해보다 10% 이상 낮아졌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이날 오전 남동발전 분당발전본부를 찾아“경제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지만 이럴 때일수록 흔들림 없이 각자의 소임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전력 유관기관과 함께 설비 점검, 연료 적기 도입, 기상 모니터링 등을 통해 전력 수급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