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찜부럭/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찜부럭/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6-01-04 18:06
수정 2016-01-05 00: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몇 분만 참으면 될 일을 조바심을 냈다가 후회할 때가 있다. 누가 본 것도 아닌데 스스로 부끄러운 경우다. 어제 저녁 때의 일이다. 아파트 1층에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데 18층에 멈춘 채 꼼짝하지 않는다. ‘누가 이렇게 개념이 없지?’ 몇 분을 못 참고 결국 중얼대고 만다. 3분이 좀 넘었을까, ‘오랜’ 기다림 끝에 도착한 승강기엔 일흔이 넘은 듯한 택배 직원이 서 있었다. 이마에 땀방울이 송골송골 맺힌 그가 “오래 기다리셨겠네”라며 미안한 표정을 짓는다. 마치 내 짜증을 듣기라도 한 것 같다. 그 순간의 황망함과 부끄러움이란….

‘찜부럭’이라는 말이 있다. 조금만 불편해도 걸핏하면 짜증을 내는 짓을 말한다. 남에게 대놓고 내는 것만 짜증은 아니다. 둘러보면 적지 않은 사람들이 조급증이라도 걸렸는지 혼잣말로 욕하고 투덜거린다. 운전할 때 끼어들었다고, 음식이 빨리 나오지 않는다고, 일 처리를 바로 안 해 준다고 말이다. 남 때문이라고 하겠지만, 뒤집어 보면 스스로 안달하고 불행을 자초하는 행위다. 버트런드 러셀은 “안달과 짜증에서 벗어나면 인생이 훨씬 즐겁다는 것을 알아챌 것”이라고 했다. 새해에는 ‘3분 참기’부터 실천해 보려 한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01-0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