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엄마 손맛/손성진 논설주간

[길섶에서] 엄마 손맛/손성진 논설주간

손성진 기자
입력 2018-04-30 22:44
수정 2018-04-30 22: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끔 연로하신 모친이 혼자 계시는 지방의 집에 내려갈 때마다 과식을 하게 된다. 변함없이 입에 맞는 음식 맛 때문이다. 뵐 때마다 탐식하는 아들을 위해 편찮은 몸으로 손수 반찬을 만들어 부쳐 주시곤 한다.

엄마 손맛의 비밀이 궁금했는데 알고 보니 조미료였다고 쓴 글을 어디선가 본 적이 있다. 물론 우스갯소리일 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조미료도 적절히 쓰면 음식 맛을 돋운다.

엄마 손맛의 진짜 비밀은 무엇일까. 물론 수십 년 넘도록 음식을 만들어 본 경험이 첫째일 것이다. 계량할 필요도 없이 소금이나 양념을 척 뿌리면 그게 바로 손맛이다. 눈대중으로 대충 뿌리는 것 같아도 그 배합은 저울보다 정확해 절묘한 맛을 낸다.

둘째는 ‘인이 박이다’고 할 때의 ‘인’이다. ‘여러 번 되풀이하여 몸에 깊이 밴 버릇’이라는 뜻인데 어릴 때 먹었던 음식 맛이 뇌 속에 깊이 남아 있는 것 또한 인이다. 한국인이 서양에 이민을 가도 김치의 맛을 잊지 못하는 것도 인 때문이다. 한국으로 시집온 동남아 여성들이 고향의 맛을 잊지 못하는 것도 우리와 하나도 다를 것이 없다.
2018-05-0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1 / 5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