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단 문학의 대명사’로 불린 소설가 이호철의 데뷔작 ‘탈향’(1955)은 6·25전쟁 당시 피난지 부산이 배경이다. 작가는 1950년 12월 흥남 철수 직전 원산 철수 당시 미군 수송선을 타고 고향을 떠났다.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탈향’은 함께 피난선을 탄 네 친구 이야기다. 처음엔 고향으로 돌아갈 날을 그리며 서로를 의지하지만 혹독해지는 환경에 결국 뿔뿔이 흩어진다.
작품 속 “부산은 눈도 안 온다”는 독백은 객지에 내던져진 상황을 상징한다. 시간이 흐르고 고향에 돌아갈 수 없음이 분명해지자 타향에서 뿌리내릴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작가는 탈향(脫鄕)이라고 썼지만 독자는 고향을 떠날 것을 강요당한 탈향(奪鄕)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된다.
‘실향민’이라는 표현은 1953년 전쟁이 중단되고 이북5도 출신에 대한 행정체계가 마련되면서 쓰이기 시작했다. ‘탈향’의 작가도 ‘실향’이 상황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이런 제목을 붙이지 않았을까 짐작한다. 그럼에도 실향민은 이후 신문·방송은 물론 일상생활에서 보편적으로 쓰이게 됐다.
1990년대 이후 북한 주민의 국경 이탈이 늘어나고 그 상당수가 남한에 들어오면서 ‘북한 이탈 주민’ 또는 ‘탈북민’이라는 표현이 가세한다. 분단으로 돌아가지 못한 실향민과는 다른 북한 출신 이주자를 지칭할 용어가 필요했다. 그런데 2000년대 들어서면서 북한 이탈 주민이나 탈북민은 물론 실향민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본격적으로 제기된다. 북한 이탈 주민은 법적 용어다.
통일부가 탈북민 호칭을 바꾸는 방안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 ‘하나민’, ‘통일민’, ‘북향민’이 주요 후보라고 한다. 적지 않은 북한 이탈 주민이 ‘이탈’이나 ‘탈북’에 거부감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인 것 같다. 하지만 명칭 교체는 의미가 훨씬 명료한 대안이 있어도 신중해야 한다. 새로운 대안은 2004년 호응을 얻지 못한 ‘새터민’만큼이나 인위적 조어(造語) 느낌에 입에도 잘 붙지 않는다.
서동철 논설위원
2025-09-1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