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떻게 서로를 돌볼 수 있는가/김진석 외 7인 지음/헤이북스/260쪽/1만 9800원

우리는 모두 인생의 어느 순간, 돌봄이 절실해지는 때를 마주하게 된다. 하지만 한국 사회는 여전히 돌봄의 절박함을 외면하고 있다. 평균수명이 늘어났지만 돌봄은 여전히 가족의 부담으로 남아 있고 공적 지원은 충분치 않다. 전문가들로 구성된 저자들은 통합돌봄 시범사업에 참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돌봄의 구조적 문제와 해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한국에서 늙어 간다는 것은 점점 더 고단한 일이 되고 있다. 많은 노인이 몸이 불편해도 집에서 지내기를 바라는데 현실은 요양병원이나 시설로 향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사실상 ‘마지막 집’이 돼 버린 요양병원에서는 인권침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집에서 존엄하게 늙고 죽고 싶다는 바람은 실현되기 어렵다. 지역사회가 돌봄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물리적 환경 개선과 더불어 돌봄이 사적 책임이라는 인식을 바꾸는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늙어 가는 것이 두려운 사회는 결국 누구에게도 안전하지 않다”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병상이 아닌 삶의 공간을 지키기 위한 사회적 투자”라고 강조한다.
돌봄은 누구나 겪는 삶의 조건이지만 한국 사회에서는 돌봄의 부담이 여성에게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돌봄은 본질적으로 상호 의존적이며 당사자, 가족, 이웃, 지역사회, 국가 등 다양한 주체들이 함께 책임져야 할 공적 과제다.
저자들은 “국민들이 가족에게 책임을 전가하지 않고 돌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국가가 결정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면서 “돌봄을 사적인 고통이 아닌 사회 전체의 책임으로 재구성할 때 존엄한 삶을 향한 길을 열 수 있다”고 밝혔다.
책은 집으로 의사와 간호사가 찾아올 수 없는 우리나라 의료 현실과 지역 주민들 돌봄에 소극적이고 비전문적인 지방자치단체의 문제점도 고발한다.
2025-05-1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