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투어단은 종묘 앞에서 모여 건너편 세운상가로 갔다. 예전에 이곳에 왔을 때는 종로 대로변부터 세운상가 건물이 있었고 상가 앞쪽에는 노점들이 즐비했었는데, 지금은 앞쪽에 있던 건물은 없어지고 세운상가로 들어가는 넓은 길이 나 있었다. 안내판을 보니 1층은 세운 광장이라고 돼 있고, 9층에는 서울 옥상이 있다고 적혀 있었다. 세운상가는 철거되기도 하고, 공중보행로로 연결되기도 하면서 지금의 모습이 됐다.
우리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옥상으로 올라갔다. 종묘 쪽을 바라보니 우거진 나무들 사이로 기와지붕이 살짝 보였다. 그 뒤로 창덕궁, 창경궁이 잇달아 숲을 이루고 있었다. 종묘 전체를 볼 수 있어 좋았다. 종묘 뒤로 북악산, 인왕산, 남산, 낙산이 보였고 북한산과 아차산도 아스라했다. 서울이 어떤 지형을 가졌는지 새롭게 알게 됐다.
피카디리극장 앞을 지나 옛 피맛길을 걸었다. 금은방들이 모여 있었고 국악 교습소도 있었고 떡집이 있었다. 이런 다양한 상점들이 생긴 이유가 이 동네에 기생집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낙원 악기 상가 앞에서 ‘세고비아’라는 악기점 간판을 보았을 때 예전에 낙원상가에 기타를 사러 왔던 기억이 떠올랐다. 우리나라 최초의 주상복합건물이라는 낙원상가는 건물 아래로 차들이 지나다녀서 아주 복잡했었고, 외진 곳인 것처럼 느껴졌었다. 지금도 별로 달라진 것이 없는 듯했다.
인사동길에 들어서서 본 통문관 건물은 왠지 낯설었다. 인사동에는 공방들도 많이 있었는데 지금은 기념품점과 음식점 차지가 된 것 같았다. 종로구청 자리는 정도전의 집터이기도 했다는데 그 터에 얽힌 역사를 들으니 권력의 다툼에 시달린 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궁궐 가까이 있어 온갖 굴곡진 역사의 현장들을 보아온 세월의 고단함이 느껴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이 자리에 수송국민학교가 있었다고 한다. 58개 학급이 있었다고 하니 그 시절의 학부모들도 종로 중심지의 좋은 학교에 자식을 보내기 위해 애썼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종묘에서 사직공원까지 걸어오면서 본 도로명 중에 돈화문로, 삼봉로, 우정국로, 인사동길, 사직로 등이 기억에 남는다. 이날 미래유산투어에서 걸은 길은 조선과 근대사의 중심 길이었다.
전혜경(독서코칭 강사)
전혜경 독서코칭 강사
피카디리극장 앞을 지나 옛 피맛길을 걸었다. 금은방들이 모여 있었고 국악 교습소도 있었고 떡집이 있었다. 이런 다양한 상점들이 생긴 이유가 이 동네에 기생집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낙원 악기 상가 앞에서 ‘세고비아’라는 악기점 간판을 보았을 때 예전에 낙원상가에 기타를 사러 왔던 기억이 떠올랐다. 우리나라 최초의 주상복합건물이라는 낙원상가는 건물 아래로 차들이 지나다녀서 아주 복잡했었고, 외진 곳인 것처럼 느껴졌었다. 지금도 별로 달라진 것이 없는 듯했다.
인사동길에 들어서서 본 통문관 건물은 왠지 낯설었다. 인사동에는 공방들도 많이 있었는데 지금은 기념품점과 음식점 차지가 된 것 같았다. 종로구청 자리는 정도전의 집터이기도 했다는데 그 터에 얽힌 역사를 들으니 권력의 다툼에 시달린 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궁궐 가까이 있어 온갖 굴곡진 역사의 현장들을 보아온 세월의 고단함이 느껴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이 자리에 수송국민학교가 있었다고 한다. 58개 학급이 있었다고 하니 그 시절의 학부모들도 종로 중심지의 좋은 학교에 자식을 보내기 위해 애썼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종묘에서 사직공원까지 걸어오면서 본 도로명 중에 돈화문로, 삼봉로, 우정국로, 인사동길, 사직로 등이 기억에 남는다. 이날 미래유산투어에서 걸은 길은 조선과 근대사의 중심 길이었다.
전혜경(독서코칭 강사)
2018-06-15 2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