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서밋 이후
서울 G20 정상회의 하루 전에 개막하는 ‘G20 비즈니스 서밋’은 우리나라가 제안해 열리는 첫 대규모 비즈니스 포럼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빌 게이츠 등 전 세계 최정상급 최고경영자(CEO)들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어서 민·관이 함께 국제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바라보는 전문가들의 시각도 여기에 모아진다.삼성경제연구소 김득갑 글로벌연구실장은 “다보스포럼 등 지금까지 대부분의 비즈니스 서밋은 휴양지에서 자유롭게 의견 교환을 하는 CEO들만의 모임으로 인식돼 왔다.”면서 “G20 비즈니스 서밋은 출범이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앞으로 정책과 경영이 어우러진 대표성 있는 모임으로 성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다보스포럼을 유대계가 주도하면서 대표성과 애초 모임 취지가 흐트러졌다는 지적도 많다.”면서 “민간 부문의 역할이 커지는 만큼 정부와 기업 대표자 등이 어울릴 수 있는 모임은 정책 결정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것”이라 전망했다. 이어 “내년 프랑스, 2012년 멕시코 회의 때도 비즈니스 서밋이 지속될 가능성이 큰 만큼 정부와 민간기업 부문의 합의와 협력을 도출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대경제연구원 박태일 컨설팅 본부장은 “현재 세계 경제문제는 환율 등 각국의 공조 없이 해결되는 게 없다.”면서 “국경을 초월하는 다국적 기업들의 수장들이 모여 경제·사회·환경 문제를 논의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박 본부장은 “정치와 경제 분야 리더들이 함께 모이는 지구촌 최초의 모임이 한국에서 시작됐다.”면서 “모임을 확대해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톱 클래스 CEO들이 각국 정상들과 세계경제의 활로를 찾는다는 점에서 진정한 의미의 첫 ‘글로벌 민·관 협력체제’라 불릴 만하다 얘기다.
한편 비즈니스 서밋에서 참석자들이 나누는 무역투자, 금융, 녹색성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 4개 의제에 따라 다양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며 토론 결과는 G20 정상회의에 전달된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0-11-10 3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