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닥터] 전립선의 SOS 외면하지 마세요

[굿모닝 닥터] 전립선의 SOS 외면하지 마세요

입력 2011-11-07 00:00
수정 2011-11-0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대인의 전립선이 위험하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전립선암의 발생률과 사망률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전립선암 발생률은 전체 암 발생의 25%로 부동의 1위다. 이로 인한 사망률은 폐암에 이어 2위에 올라 있다.

국내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다. 2006년 건보공단 자료에 따르면 국내 전립선암 신규 환자는 2000년 1457명에서 2006년 3436명으로 236%의 증가율을 보였다. 당연히 사망자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전립선암은 유전성에다 환경 요인, 남성호르몬의 영향, 식이습관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한다. 흔히 ‘PSA’라고 하는 전립선 특이항원은 이런 전립선암의 유용한 종양 표지자로, 전립선암의 선별검사는 물론 진단·병기 결정·치료 반응과 치료 후 경과관찰에 매우 유용하다. 일반적으로는 3~4ng/㎖ 미만을 정상으로 보며, 수치가 높을수록 암 확률이 높다. 따라서 PSA 수치가 높다면 조직검사를 통해 암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 봐야 한다. 진단에서 전립선암으로 판정되면 골반 MRI를 통해 전이 여부를 다시 확인하게 된다.

치료 방법은 수술적 치료와 방사선치료, 호르몬 제제 등 약물치료, 항암치료 등이 있다. 어떤 치료법이든 장·단점은 있다. 또 치료 방법도 환자의 특성과 병기에 따라 다르므로 의료진과 충분히 의견을 나눈 뒤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면 된다.

의료 현장에 있다 보면 최근 많은 이들이 전립선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반가운 변화다. 전립선암이 더 이상 남의 질환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필요하다. 나는 모르고 있지만 당장 내 몸 속에서도 전립선 질환이 진행 중인지도 모를 일이다. 중요한 것은 방심하지 않는 것이다.

40대 이상의 남성이라면 전립선을 염두에 두고 정기 검진을 일상화해 주기를 권고한다.



이형래 강동경희대병원 비뇨기과 교수
2011-11-0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