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세 이후 발병하는 ‘성인 여드름’은 치료방법을 달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여드름은 14~19세 사이의 사춘기 청소년에게 발병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25세 이후 여드름은 ‘성인 여드름’으로 분류돼있다.
성인 여드름을 경험하는 환자는 매우 다양하고 원인과 종류도 많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발병률이 높고, 주로 흉터를 동반하는 염증성 여드름이 많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특히 성인 여성의 경우 생리 주기와 관련성이 높다. 생리 시 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인해 피지 분비의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여드름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게 된다.
화장품, 헤어제품 등에 함유된 여드름 유발성분으로 인해 발생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 원인을 제거함과 동시에 이미 발병된 여드름의 정도, 염증 진행 여부 분석, 흉터관리 등의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특히 성인 여드름의 경우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환부가 헐거워지면서 노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치료과정에서 피부 상태를 근본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이 관건이다.
압구정 규림한의원 성호영 원장은 24일 “성인 여드름은 발병 이후 환부의 흉터나 색소 침착이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면서 “이미 흉터가 있다면 단단해진 흉터벽을 부드럽게 한 후 흉터 유형에 따른 3D 입체 복원 치료가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성인 여드름은 스트레스 등의 내부 문제를 끼고 발생하기 때문에 염증이 쉽게 아물지 못하고 조직의 재생이 청소년에 비해 어렵고 복잡하다. 상대적으로 연한 ‘턱’ 쪽 조직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흉터 등의 여드름 후유증 발생 위험도 높다.
이밖에 성인여드름 사라지지 않는다면 몸의 균형이 무너졌을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무너진 균형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기운을 보강해 내 몸에서 스스로 여드름을 이겨낼 수 있는 피부의 기본 기능을 살려 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여드름 치료법에 대해 한방에서는 ‘자정(自正)’ ‘자생(自生)’ ‘자류(自流)’ ‘자미(自美)’ ‘자모(自毛)’ 등의 치료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스스로 이겨낼 수 있도록 피부의 기본 기능을 살려(自生), 스스로 순환과 소통을 잘 이룰 수 있도록(自流) 몸을 보하는 것이다. 여기에 피부의 노화를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지연시켜(自美) 정상적인 피부상태로 자연스럽게 회귀(自正) 시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성 원장은 “몸의 불균형을 바로잡고 여드름 농의 배출을 통해 뭉친 여드름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피부 재생 촉진을 돕고, 염증, 노폐물 분비와 안색 개선 및 피부탄력 증강에 도움이 되는 치료를 꾸준히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여드름을 단순히 피부의 트러블로 생각하는 것은 위험하다”면서 “한방에서 전해지는 약재와 다양한 침술 치료를 잘 활용한다면 피부와 함께 몸의 건강까지 챙길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