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4명중 1명이 평생 한번 이상은 정신질환을 앓은 적이 있다.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높은 자살률로 연결되는 만큼 정부가 범부처 차원의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양성일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이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정신건강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정부는 시.군.구 정신건강증진센터에 정신과 의사를 배치하고 외래치료 시 본인 부담률(30~60%)을 20%로 낮추고 강제입원 인권문제 해소를 위해 국립정신병원에 입원적합성심의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양성일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이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정신건강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정부는 시.군.구 정신건강증진센터에 정신과 의사를 배치하고 외래치료 시 본인 부담률(30~60%)을 20%로 낮추고 강제입원 인권문제 해소를 위해 국립정신병원에 입원적합성심의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정부는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정신건강 종합대책(2016~2020년)’을 확정했다.
종합대책에 따르면 내년부터 정신건강의학과(정신과) 병·의원이 아닌 동네의 내과, 가정의학과 등 1차 의료기관에서도 우울이나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에 대해 체계적인 진단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동네의원에 관련 교육을 하는 한편 우울증 등에 대한 선별 검사 도구를 개발해 보급하고 진료 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 같은 조기발견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한 것은 우울증 등 정신적인 어려움이 있지만 이에 대한 자각 없이 신체적 증상으로 동네 의원을 방문한 경우, 정신건강 문제를 놓치지 않고 발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복지부가 지난달 발표한 자살 사망자 121명의 심리부검 결과를 보면, 자살자의 28.1%는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으로 1차 의료기관을 방문한 적이 있었다.
동네 의원에서 정신건강 문제가 발견되면 정신과 진료를 전문으로 하는 의료기관이나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우울증 약물 처방이나 정신 상담 치료 등 더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