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 도입으로 그동안 한국 교육의 지향점으로 여겨진 ‘핀란드 모델’ 대신 ‘아일랜드 모델’이 주목받고 있다. 자유학기제의 아이디어를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에서 많이 빌려 왔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28일 “아일랜드 전환학년제는 3년간의 중학교 과정과 2년간의 고등학교 과정 사이에 1년 동안 희망자를 대상으로 운영되는 진로 탐색 교육과정으로 사회·도덕·음악·예술·철학·응용논리 등을 폭넓게 배우는 제도”라면서 “2010년 현재 75% 이상의 학교가 전환학년제 과정을 운영하고 53%의 학생이 참여한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공립기초학교를 졸업한 뒤 우리 인문계 고교에 해당하는 김나지움이나 직업학교로 진학하기 전 1년 동안 기숙 생활을 하며 감성교육과 학생 참여 수업을 진행하는 덴마크의 애프터스쿨 ▲한국의 중 2~3학년에 해당하는 기초학교 8~9학년이 1~2주 동안 직업체험을 하는 스웨덴 진로체험 학습 등도 자유학기제와 유사한 사례로 꼽았다.이 중에서 아일랜드가 특히 주목받는 이유는 전환학년제가 한국처럼 치열한 입시경쟁의 환경 속에서 아일랜드 정부가 찾아낸 대안이기 때문이다. 전환학년제는 1974년 리처드 버크 당시 아일랜드 교육부 장관이 시험의 압박에서 학생을 해방시키고 폭넓은 학습경험을 유도하겠다며 도입한 제도다. 전환학년제 동안 지필고사를 생략한다든지, 학교 자율적으로 기업과 지역사회의 도움을 받아 진로체험 활동 프로그램을 짜는 방식도 우리 자유학기제와 닮은 점이다.
하지만 자유학기제와 전환학년제 간 차이점도 많다. 자유학기제가 중학교 6개 학기 중 한 학기 동안 운영되는 정규 교육과정 모델인 반면 전환학년제는 진로탐색을 위해 학생이 추가로 1년을 학교에 다니게 했다. 아일랜드가 전환학년제 실시를 위해 수업 프로그램을 꾸릴 전담 코디네이터를 학교마다 배치한 것과 다르게 우리는 일반 교사나 기존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자유학기제 업무에 관여할 계획이다.
한국에 비해 아일랜드 정부의 학교 현장 지원이 더 활발한 셈이지만 정책 추진 강도만큼은 한국이 우위에 섰다. 아일랜드가 전환학년제를 40여년 동안 운영했음에도 절반 정도의 학생만이 참여한 데 비해 우리는 2016년부터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실시할 계획이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교육부는 28일 “아일랜드 전환학년제는 3년간의 중학교 과정과 2년간의 고등학교 과정 사이에 1년 동안 희망자를 대상으로 운영되는 진로 탐색 교육과정으로 사회·도덕·음악·예술·철학·응용논리 등을 폭넓게 배우는 제도”라면서 “2010년 현재 75% 이상의 학교가 전환학년제 과정을 운영하고 53%의 학생이 참여한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공립기초학교를 졸업한 뒤 우리 인문계 고교에 해당하는 김나지움이나 직업학교로 진학하기 전 1년 동안 기숙 생활을 하며 감성교육과 학생 참여 수업을 진행하는 덴마크의 애프터스쿨 ▲한국의 중 2~3학년에 해당하는 기초학교 8~9학년이 1~2주 동안 직업체험을 하는 스웨덴 진로체험 학습 등도 자유학기제와 유사한 사례로 꼽았다.이 중에서 아일랜드가 특히 주목받는 이유는 전환학년제가 한국처럼 치열한 입시경쟁의 환경 속에서 아일랜드 정부가 찾아낸 대안이기 때문이다. 전환학년제는 1974년 리처드 버크 당시 아일랜드 교육부 장관이 시험의 압박에서 학생을 해방시키고 폭넓은 학습경험을 유도하겠다며 도입한 제도다. 전환학년제 동안 지필고사를 생략한다든지, 학교 자율적으로 기업과 지역사회의 도움을 받아 진로체험 활동 프로그램을 짜는 방식도 우리 자유학기제와 닮은 점이다.
하지만 자유학기제와 전환학년제 간 차이점도 많다. 자유학기제가 중학교 6개 학기 중 한 학기 동안 운영되는 정규 교육과정 모델인 반면 전환학년제는 진로탐색을 위해 학생이 추가로 1년을 학교에 다니게 했다. 아일랜드가 전환학년제 실시를 위해 수업 프로그램을 꾸릴 전담 코디네이터를 학교마다 배치한 것과 다르게 우리는 일반 교사나 기존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자유학기제 업무에 관여할 계획이다.
한국에 비해 아일랜드 정부의 학교 현장 지원이 더 활발한 셈이지만 정책 추진 강도만큼은 한국이 우위에 섰다. 아일랜드가 전환학년제를 40여년 동안 운영했음에도 절반 정도의 학생만이 참여한 데 비해 우리는 2016년부터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실시할 계획이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3-05-2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